신문공동배달제 시범운영이 다음달 중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공동배달제추진위원회(공배제추진위)는 지난 7월 시범지역을 과천시로 선정한 이후 3개월여간 검토작업을 진행해온 끝에 17일 회의에서 이를 최종 확정했다.
이에 따라 공배제추진위는 오는 24일 실무협의회에서 과천 공배지국 사무실을 결정하고 지국장을 선임할 계획이다. 공배제를 전면 실시할 경우 지국 임대료나 보증금은 공배지국에서 부담한다는 방침이지만, 이번 시범운영의 경우 일단 참여사들이 공배지국 사무실 비용을 분담할 예정이다.
시범운영은 공배지국에 각사 과천지국이 배달을 위탁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공배제추진위에 참여하고 있는 허행량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지난 18일 전국신문통신노조협의회 정례회의에 참석, 공배제 추진 현황을 발표했다. 허 교수 분석에 따르면 과천시 공배지국의 총 배달부수를 4700부로 산정할 경우 각 지국 차원에서 소요되던 인건비, 오토바이 유지비, 사무실 운영비 등이 절감돼 월 1900여만원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 교수는 “시범실시를 통해 본사와 지국, 공배지국의 수익성을 어떻게 보장하느냐 하는 문제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료 취합·분석 과정에서도 평균 30%의 비용절감이 가능하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시범지역으로 과천시를 선정한 이후 검토작업이 3개월간 지속된 데에는 지국실태에 관한 정확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제출자료에 변동이 있을 경우 공배지국 운영 방안과 이에 따른 수익, 비용 산출 작업을 다시 해야 하기 때문이다. 애초 본사 발송부수, 본사 지원 내역, 지국의 실 수금부수와 납입지대, 독자 현황 등의 자료 취합은 공배제 시범운영의 1차 관건으로 제기됐었다. 지국 운영경비와 본사 지원 등 지국-본사간 이해가 걸린 부분의 경우 한때 실무진들이 원 자료 제출을 꺼려 세부검토에 애를 먹었다는 후문이다.
한편 지난 21일 세계일보가 공배제 참여를 최종 확정해 서울지역의 경우 참여사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를 제외한 6개사로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