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당신의 정책을 보여주세요"

박미영 기자  2002.10.23 11:23:34

기사프린트

경향·문화·한겨레, 시민단체와 연계 후보공약 검증 본격화





대통령 선거가 6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언론들이 시민단체와 함께 대선 후보들에 대한 공약검증을 추진하는 등 차별화된 검증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문화일보가 경실련과 공동으로 공약검증을 시작한데 이어 한겨레가 YMCA와, 경향신문이 참여연대와 함께 공약검증을 하기로 하는 등 시민단체와 연대해 공약검증을 진행하거나 추진하고 있다.

경실련과 함께 가장 먼저 공약 검증에 들어간 문화일보는 지난 7일부터 각 후보들의 공약 내용과 문제점, 실현성 여부 등을 비교해 눈길을 끌고 있다. 그동안 비교 검증한 공약은 후보들이 최근 각종 토론회에서 한 발언과 정책자료집 등을 분석해 공통으로 제시한 △아파트 값 인하 △행정수도 이전 △주 5일 근무제 △경제성장률 등 4가지. 이외에도 후보별 특정공약을 집중 점검하는 한편 공약 사각지대에 대한 문제제기 등을 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인 검증작업은 문화일보에서 제공한 기초자료를 경실련 산하에 구성된 대선후보 평가팀에서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지난 21일 사고를 통해 YMCA와 손잡고 ‘선택 2002-이젠 정책선거다’라는 제목으로 대선 캠페인을 하겠다고 밝힌 한겨레는 22일 보도한 ‘유권자 의식조사’를 통해 ‘유권자가 바라는 우리나라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공약검증의 신호탄을 울렸다.

한겨레는 이날 사고를 통해 “YMCA는 정치·경제·통일·사회 등 분야별로 196명의 자문교수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대 선거에서 자체적인 후보 정책평가 작업을 벌여 좋은 반응을 얻은 바 있다”며 “그동안 표피적이고 나열식에 그쳤던 후보 평가와 정책검증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참여연대와 함께 공약검증 작업을 계획하고 있는 경향신문도 다음주 초 사고를 내고 11월부터 공약검증을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경향신문은 이와 관련 지난 17일 4명의 후보에게 7개 분야 150문항으로 이뤄진 공통 질의서를 보낸 데이어 답변 결과에 따라 후보별로 구체적인 추가질의를 하기로 하는 등 본격적인 검증작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사전 준비작업을 하고 있다. 경향신문은 또 질의내용을 토대로 분야별 전문가들과 공약 검증을 위한 토론회도 계획하고 있다.

경향신문 박노승 종합기획부장은 “시민단체의 경우 그동안 정책 검증 작업을 꾸준히 해왔을 뿐 아니라 많은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공익적 목적의 질문을 구성하고 전문적 분석을 하는데 유리한 측면이 있다”며 시민단체와의 공동기획 배경을 설명했다.

이외에도 한국일보가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중심의 학계 전문가들로 대선후보 공약검증위원회를 구성한 것을 비롯해 대부분의 신문들이 외부 단체 등과 손잡고 위원회 구성을 추진하는 등 객관적이고 차별화된 공약검증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동아일보 심규선 정치부장은 “이 달 말부터 외부단체와 손잡고 별도의 공약검증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라며 “후보들이 빨리 결정되지 않으면서 공약발표도 늦어지고 자연히 언론의 검증 작업도 늦어진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다.



mypark@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