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국, 4억달러 지원설 '두 목소리'

박주선 기자  2002.10.23 11:24:45

기사프린트

장명수 칼럼 비밀거래는 안된다



박래부 문화마당 통일비용 이해해야





같은 신문에 다른 입장을 담은 칼럼이 실려 눈길을 끌었다. ‘4억 달러 북한 지원설’에 대한 한국일보 ‘장명수 칼럼’(7일자)과 ‘박래부의 문화마당’(16일자)의 시각차가 그것.

장명수 칼럼 ‘햇볕정책, 토성과 지구 사이’는 “햇볕정책의 목표에 합의했던 사람들은 남북 정상회담 직전에 거액의 자금이 북한에 제공됐다는 야당의 폭로에 당황하고 있다”며 “만일 야당의 폭로가 사실이라면 김대중 대통령은 테러를 일삼는 북한의 독재자와 밀거래로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는 도덕적인 문제에 부딪치게 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박래부의 문화마당 ‘북녀 응원단이 남긴 감상’은 “‘4억 달러설’이 마침내 사실로 밝혀진다면 실망스럽기는 하겠지만 그만한 값어치는 있는 셈”이라며 “그것은 역사 위에 ‘통일비용’ 항목으로 기록되어 마땅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누군들 퍼주면서 그 정도를 못하랴’라고 말해서는 안된다. 어느 대통령도 북녘에 온기를 제공하려 들지 않은 것이 우리 분단사”라는 지적이다.

‘4억 달러설’을 지켜보는 두 필자의 강조점이 ‘비밀거래는 안된다’는 것과 ‘대북 지원의 필요성’으로 각각 맞춰진 것. 이어지는 주장에서도 ‘장명수 칼럼’은 “햇볕정책의 명분이 아무리 좋다 해도 모든 수단이 정당화 될 수는 없다. 서독이 통일을 이루기 위해 동독에 얼마나 많은 돈을 주었는지 아느냐는 식의 생각은 위험한 것”이라고 밝혔다. ‘박래부의 문화마당’이 “두 체제가 통일을 향해 가고자 한다면, 현 정부 이후에도 지금 이상의 대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북쪽은 형편이 어렵고 남쪽은 훨씬 여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 것과 차이가 난다.

이와 관련, 장명수 이사는 “통일비용도 좋지만 밀거래를 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라며 “신문의 논조가 있겠지만 사안에 대해 일사불란하게 나갈 수는 없다. 과거에도 사설과 다른 칼럼이 실린 적이 있고, 기명 칼럼에서 입장 충돌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박래부 논설위원은 “장 이사는 그분대로 합리적 판단을 갖고 글을 쓴 것이고 나는 내 고집대로 글을 쓴 것”이라며 “기명 칼럼은 필자 각자의 책임에 따른 것이고 입장차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su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