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시사주간지 ‘충청리뷰’에 대한 검찰의 보복수사 의혹을 규탄하는 지역 여론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충청리뷰를 살리기 위한 지역사회의 연대 활동이 본격화하고 있다.
충북참여자치연대, 충북언론노조협의회, 민주노총충북지역본부, 청주경실련 등 충북도내 39개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난 22일 ‘바른언론 충청리뷰 지키기 충북도민대책위’를 결성하고 충청리뷰에 대한 청주지검의 보복수사 중단, 윤석위 사장 석방, 검찰 공개 사과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충청리뷰를 검찰의 탄압으로부터 지키고 검찰의 잘못된 수사관행을 바로잡기 위해 검찰청 앞 1인 시위, 수사중단 촉구 범시민 서명운동, 충청리뷰 지지광고 게재 운동 등을 전개하기로 결의했다. 그동안 충북대 김승환 교수, 이홍원 화가, 도종환 시인 등이 충청리뷰 사태에 항의하며 청주지검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였고, 지난 19일에는 40여명의 지역 인사와 시민단체 대표들이 충청리뷰 사태를 홍보하는 거리 캠페인을 벌였다.
충청리뷰에 대한 보복 수사 의혹은 지난 9월 14일과 21일자로 청주지검의 수사관행과 지역인사들의 검찰 줄대기를 비판하는 기사를 내보낸 뒤 충청리뷰 윤석위 대표가 구속되고 충청리뷰 광고주들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서 불거졌다. 이 과정에서 광고주들이 예정된 광고를 취소하거나 유보하면서 지난 19일자 충청리뷰는 백지광고로 발행되는 사태가 빚어졌다. 이에 따라 충청리뷰는 독자들과 시민단체들의 지지 격려광고로 광고면을 채우고 있다.
그러나 청주지검측은 민원과 제보에 따라 수사를 진행했을 뿐 보복 수사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청주지검 강경필 부장검사는 “윤석위 사장이 언론사주의 신분을 이용해 다른 건설업체로부터 3000만원을 갈취한 혐의가 드러나 21일 기소했으며 충청리뷰의 광고수주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민원이 많아 광고주들을 상대로 소환조사를 하고 있는 것”이라며 “기사가 나온 시점과 수사 착수 시점이 겹쳐 오해를 부른 것 같다. 요즘이 어떤 세상인데 언론을 상대로 보복수사를 할 수 있느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충청리뷰 직원들은 9일째 철야농성을 벌이고 특별호를 제작하며 검찰의 보복수사 의혹을 거듭 제기하고 있다. 충청리뷰측은 “광고비가 10만원, 20만원에 불과한 일반 소매점에 대해서까지 소환조사를 벌이는 것은 명백한광고탄압이며 충청리뷰를 고사시키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며 “충청리뷰가 목적이 아니었다면 왜 소액주주들에게까지 전화를 걸어 투자경위를 캐묻는 것인가. 십시일반으로 정성을 보탠 주주들에 대한 검찰의 조사는 언론자유를 크게 위축시키는 행위가 명백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