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같은 결과는 전국언론노동조합과 한국기자협회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가 리서치플러스 연구소에 의뢰해 20세 이상의 성인남녀(제주도 제외) 5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실시한 ‘대선후보 TV토론에 대한 전국민 여론조사’를 통해 나타났다. 조사결과 65.5%의 유권자가 ‘후보결정에 도움이 되는 토론형식’을 묻는 질문에 합동토론을 선택했으며 개별토론은 33.3%에 그쳤다.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합동토론 참여후보의 기준에 대해서는 55.5%의 유권자들이 ‘여론조사 지지율 5% 이상이거나 국가보조금지원 정당후보’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언론사 여론조사 지지율 5%이상 후보(28.8%), 국회교섭단체 구성 정당후보(6.7%), 국가보조금지원 정당후보(6.6%) 가 뒤를 이었으며 후보 모두가 나와 토론을 해야 한다는 의견은 1.2%로 조사됐다.
이회창 한나라당 대선 후보가 MBC 후보토론을 거부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70.9%의 유권자가 “특정방송에만 출연을 거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답변했으며 25.4%의 유권자만이 “전적으로 후보가 결정할 사안이므로 문제될 것이 없다”고 대답했다.
불참후보가 있는 경우 합동토론의 진행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73.2%의 응답자가 “불참후보를 제외하고라도 합동토론을 진행해야 한다”고 응답해 “유력후보가 빠진 상태의 합동토론은 진행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23.7%)을 압도했다. 합동토론 불참후보에 대한 제재방안에 대해서는 방송을 통한 정책발표나 방송유세 회수 제한(55.4%), 정부지원금 제한(24.1%) 등 제재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재에 반대한다는 의견(3.4%)보다 월등히 많이 나왔다. 이번 여론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는 최대 ±4.4%포인트며 응답율은 29.4%다.
한편 전국언론노조는 지난 28일 ‘대통령후보 TV합동토론회 참가자격에 대한 우리의 입장’이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내 “대통령후보 TV합동토론회는 최소한 국민의 세금인 정당보조금을 받는 후보에게는 그 문을 열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