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공정방송위원회가 회사측의 문제제기로 잇따라 무산되면서 노조가 철야농성에 돌입하고 공개사과를 요구하는 등 갈등을 빚고 있다. 노조는 사측의 공방위 해태와 관련 단협 위반 및 부당노동행위를 사유로 지방노동사무소에 고발할 방침이라 노사 대립이 더욱 격화될 조짐이다.
단협상 매월 셋째주 금요일에 개최하도록 돼 있는 KBS 공방위는 그동안 안건에 대한 노사 의견 차이와 본부장 신임투표 과정의 회사측 불만 등이 중첩되면서 파행을 겪어 왔다. 지난 19일 예정된 공방위에서는 노조가 ‘대선후보 심야토론 관련 사회자의 불공정 진행’을 안건으로 올렸으나 회사는 “현재 진행중인 프로그램의 불공정 여부를 논의할 경우 제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난색을 표했다.
또 ‘라디오 시사프로그램 활성화’에 대한 안건도 공방위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노사는 22일 다시 공방위를 열기로 합의했으나 이번에는 사측이 제작본부장 신임평가와 관련 노조의 게시물이 불공정하다며 회의 30분전 공방위를 거부했다.
앞서 지난 7월 공방위에서도 월드컵 경기를 1, 2TV에서 동시 중계한 것을 안건으로 상정하자 사측은 월드컵 편성 문제는 공방위 안건으로 적절하지 않다며 연기를 요청했다.
공방위가 잇따라 무산되자 KBS 노조는 지난 23일부터 철야농성에 돌입하고 사측에 공개 사과를 요구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섰다.
KBS 노조는 “단협에 따르면 공방위는 공정방송에 대한 편성, 제작, 보도와 관련한 제반 사항을 논의하고 해당 책임자에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돼 있다”며 “불리한 안건을 거부하고 필요에 따라 개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제도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또 “대선을 두달도 남기지 않은 시점에서 공방위를 회피하는 것은 불공정 방송을 하겠다고 공언하는 것과 같다”며 “회사가 공개 사과하지 않을 경우 30일 단협 위반으로 고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