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노무현, 국민통합21 정몽준,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 등 대선 후보들이 최근 기자협회 초청 대선후보 토론회와 MBC 미디어비평에서 잇따라 언론의 대선보도와 관련 불만을 쏟아냈다. 관련기사 4·5면
노무현 후보는 지난 1일 MBC 미디어비평에 출연, 현재 언론의 대선 보도와 관련 “아주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몇 개의 거대 언론이 특정 후보를 편파적으로 지원하고 줄서기를 하는 게 아닌가 싶을 만큼 공정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정몽준 후보도 지난달 31일 기자협회 토론회에서 ‘현대전자 주가조작 사건에 정 후보가 개입됐다’는 이익치 전 현대증권 회장의 발언 내용을 언론이 그대로 보도하고 있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정 후보는 “한나라당이 공격하는 것은 이해가 가지만 가장 공정해야 할 언론이, 일하던 회사에서 업무상 배임으로 고소를 당한 사람이 한 발언을 가지고 내 인격을 말살하는 보도를 하는 것을 보면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권영길 후보는 “저질선거 저질정치는 언론이 부추기고 있다”며 “정책선거를 주문하면서 막상 선거보도는 지역감정을 유발하는 보도, 흥미위주의 경마식 보도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 후보는 또 “9시 뉴스와 신문보도에서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 권영길의 활동은 철저히 배제되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언론사 세무조사와 관련해서는 후보 3명 모두 “규정대로 5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실시한 세무조사의 성격과 관련해서는 권영길 후보가 “언론탄압이라는 일부 언론사의 주장은 말이 안 된다”고 일축한 반면 정몽준 후보는 “상당히 무리하고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게 아닌가 많은 분들이 얘기하는데, 한번 좀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해 입장이 엇갈렸다.
자전거 경품 등으로 혼탁한 신문시장을 바로잡기 위해 신문고시를 적용, 공정거래위원회가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노무현 후보와 권영길 후보가 “공정거래위가 현재 직무유기를 하고 있다”며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한 반면, 정몽준 후보는 “그런 제도가 있다면 규정대로 해야 한다”며 다소 소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언론사 소유지분 제한에 대해서는 권영길 후보가 “정간법을 개정, 족벌신문의 소유지분을 제한해야 한다”고 밝힌 반면, 정몽준 후보는 “기업이니까 세무조사를 해야 한다면서 영향력이크다고 소유를 제한해야 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노무현 후보는 “외국에서도 개인소유 언론이 있지만 소유와 편집이 분리돼 있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소유와 경영, 편집권의 분리를 강조하고 소유지분 제한과 관련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한편 기자협회 토론회와 MBC 미디어비평에 모두 불참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는 현재까지 토론회 참석 여부에 대한 확답을 하지 않은 가운데 언론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박미영 기자 mypark@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