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구독·해지와 관련한 소비자들의 신고가 특히 서울지역에서 지난해에 비해 부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연맹(회장 정광모)이 접수한 바에 따르면, 2002년 1월~10월 서울지역의 신문 관련 고발건수는 28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97건 보다 46%포인트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자연맹 산하 인천, 의정부, 춘천, 대구, 부산 등 7개 지역 지회에서 올 1월~9월 접수한 고발 건수는 420건이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13건과 비슷한 수치다. 올해 접수된 총 신고 건수는 709건(서울 1월~10월 289건/지방 1월~9월 420건)으로, 지난해 한해 총계 772건(서울 274건/지방 498건)을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회사별 고발 건수는 중앙일보 243건(34%), 동아일보 192건(27%), 조선일보 146건(20%) 등 3개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81%에 달했다. 이밖에 경향신문 20건, 한국일보 17건, 한겨레 8건, 매일경제 5건 등이었으며 지방지나 해당신문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80건이었다. 2001년 한해의 경우 중앙일보 233건(30%), 동아일보 223건(28%), 조선일보 176건(22%) 등 순위에는 변화가 없었다. 경향신문(37건), 한국일보(30건)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연맹은 △구독중지를 요청했으나 처리를 지연하는 경우 △구독계약시 지불했던 경품과 무가지 구독기간 대금 지불을 요구하면서 해지를 거부하는 경우 등 “고발유형의 90% 이상이 구독 해지·중단과 관련한 내용이었다”고 설명했다. 또 △구독자가 이사한 경우 이전 주인이 구독하던 신문을 계속 투입하면서 대금 지불을 요구하는 경우 △구독중지시 지국에서 소요된 배달사원 판촉료 등의 지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올 1월~8월 고발건수 가운데 경품 관련 사안은 34건으로, 중앙일보(13건)가 가장 많았으며 동아일보 조선일보(각 9건)가 뒤를 이었다. 경품으로는 전화기 17건, 선풍기, 유치원 교재 각 4건 등이었으며 자전거, 녹즙기, 아이스박스, 다리미 등도 있었다.
소비자연맹 서민선 간사는 “올해 고발 분 가운데 10건을 신문공정경쟁위원회에 이첩했으며 각 신문사 경품 제공 등 고발사안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요구하는 공문을 공정거래위에 제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