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협의 기자실 폐쇄 요구는 일부 기자들의 권위의식, 왜곡 보도에 대한 불만이 표출돼 나온 것이다.” “보도 문제는 언론중재위 제소 등 반론권 청구로 해결해야 한다. 왜곡보도 때문에 기자실을 폐쇄하려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
지난달 31일부터 1일까지 기자협회 주최 영·호남 시군 공보담당관 세미나가 경주 현대호텔에서 열렸다. 한 자리에 모인 기자, 공무원직장협의회 관계자, 시군 공보담당관들은 특히 기자실 문제에 대해 솔직한 얘기를 주고받았다.
이정천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은 “기자실 문제가 첨예하게 나오는 까닭을 살펴봐야 한다”며 “국민 편에 서야 할 언론이 권력자 편에 서 있었다”고 지적했다. 임영진 군산시청 직협 사무국장은 “직협이 기자실 폐쇄를 주장하는 이유는 두 가지”라며 “일부 기자들이 권위의식에 찌들어 공무원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고, 왜곡 보도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임 사무국장은 그러나 “기자실 폐쇄보다는 브리핑룸 전환이 바람직하다고 본다”며 “단 조건은 기자들이 의식 전환을 하고 행정 문제를 기사화할 때 실무담당자에게 충분한 취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인동 무주군 직협 부회장은 “직협 설문조사 결과 212명 중 203명이 기자실 폐쇄에 찬성했다”며 “기사를 낼 때마다 밥을 사야하고 촌지를 줘야하는 등 현장에서 기자들에게 느꼈던 불만이 표출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상진 CBS전북 보도국 기자는 “기자들과 감정이 안 좋기 때문에 기자실을 폐쇄한다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며 “무조건 폐쇄보다는 기자실의 잘못된 관행을 개선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반박했다. 박창호 부산기자협회장은 “기자실이 강제 폐쇄된 부산시 사하구청의 경우 출입기자들이 팩스, 전화비용을 내겠다고 했는데도 공직협에서 무조건 폐쇄를 고집해 대화가 안됐다”며 일방적인 기자실 폐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정성문 광주타임스 기자는 “광주시 법조기자실의 경우 매월 12명의 출입기자들이 6만6000원씩 갹출해 운영비를 마련하고 있다”면서 “‘자력갱생’한다는 자부심이 있지만 결코 모범답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구습에 젖은 기자들의 태도는 반성해야 하지만 공무원들이 무턱대고 기자실을 폐쇄하겠다는것도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기자실 문제의 바람직한 해결을 위해 기자협회, 공무원직장협의회, 공보 담당자 등 3자가 합리적인 논의를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규홍 부산시 사하구청 공보담당은 “기자실 폐쇄 문제로 중간에서 난처한 입장이었다”며 “기자실 문제는 직협과 공보 집행부가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 기협 직협 공보 집행부 등 3자가 만나 논의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토론회 발제를 맡은 김영호 전 세계일보 편집국장은 “기자실 문제는 폐쇄보다는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언론과 행정기관은 유착관계도, 적대관계도 아닌 긴장관계를 유지해야 감시와 견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박주선 기자 su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