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기획단을 조만간 꾸릴 계획인데, 정책보도 취지에 걸맞는 방안이 어떤 것인지 고민이다.” 한 신문사 정치부장이 언급한, 요즘 대선보도에 대해 갖고 있는 고충이다.
97년 대선 때처럼 합동토론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지만, 과거보다 대중연설 등 옥외 집회 활동이 줄어들고 TV토론으로 상징되는 미디어선거가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선 취재시스템에도 변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차적으로 거론되는 것이 이른바 수행취재의 지양, 부서별 공조를 통한 후보자·정책검증 강화다. 그러나 취재일선에서는 변화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시민사회단체와 공조 외에, 이에 부합하는 시도가 아직 본격화되지 않고 있다.
수행취재 방식은 전과 대동소이하다는 게 정치부 기자들의 설명이다. 한 정치부 기자는 “옥외 행사를 옥내에서 하는 것일 뿐, 기본적으로 후보들을 똑같이 따라다닌다. 시스템이나 기자 배치 등에서 아직까지 달라진 바는 없다”고 전했다. “아직까지 기본은 수행취재”라는 설명이다. 부서별 공조 역시 기자들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반응이다.
또다른 정치부 기자는 “부서별 공조는 후보 별로 질의서를 보낼 때 타 부서에 질문을 취합하는 정도”라며 “이 역시 분석은 정치부에서 한다. 타 부서 역시 담당하는 면들이 있기 때문에 협조를 요청하는 게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각 언론사가 경쟁적으로 전문가집단, 시민단체 등과 연계해 정책·공약 검증에 주력하고 있지만 자체 인력을 가동, 보다 탄력적으로 현안들을 비교·분석하려는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실제로 몇몇 신문사들은 정치부 내 정당 별, 후보 별 검증팀을 별도로 가동하고 있으나 실제 가용인력, 부서별 공조 면에서 애를 먹는 눈치다. 한 신문사 정치부 차장은 “미디어선거로 선거방향이 바뀌었다고 하더라도 취재시스템이 쉽게 바뀌겠느냐”고 반문하면서도 “정치부만으로는 전문성이 부족해 한계가 있다. 후보들이 발표하는 것을 옮기는데 그친다”며 개선 필요성을 인정했다. 몇몇 전문가집단에 검증을 ‘위임’하는 것만이 아니라 부서별 검증팀이나 기획팀 등 전담인력 구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한 신문사 정치부장은 “방송이 TV토론의 장을 마련한다면 신문은 선거과정에서 꾸준히 아젠다를 제시해야 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대선후보들의 공약 관련 발언이나 당자료 등을 축적해 편집국 차원에서 수시로 점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