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민심에 '혼쭐' 편파도 '눈치'

지역주의·의혹 부풀리기 효과없자 '당황' 역력

취재팀  2002.12.11 14:03:31

기사프린트

선거판세 ‘정치적 계산’도 작용



대선을 둘러싼 일부 언론의 편파보도에 제동이 걸렸다. 폭로 의혹 부풀리기, 지역대결 조장, 편향적 의제설정 등 ‘편들기’ 보도가 유권자들에게 먹혀들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반발만 사는 등 ‘역풍’을 맞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선거 판세에 따른 정치적 부담이 겹쳐지면서 노골적인 편파보도에서 지지율 변화와 민심 동향을 신중하게 탐색하는 등 수위를 조정하는 ‘눈치보기’ 양상으로 접어들었다는 것이다.

한 신문사 편집부 기자는 “몇몇 신문이 최근 들어 편파보도에서 눈치보기 식으로 바뀌었다는 데 공감한다. 초판에 다룬 기사를 시내판에서 바꾸거나 제목 톤이 낮아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선거운동 초기 몇몇 언론에서 드러난 ‘○○지역서 밀어줘야’ 식의, 지역감정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산 제목 뽑기도 지역별 판세분석 기사 외에 일반 유세 기사에서는 상당 부분 빈도가 줄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나라당을 출입하는 한 기자는 “일련의 폭로와 중계보도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고, 후보 간 지지율 순위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이 섣불리 ‘튀는’ 보도를 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일례로 지난 7일자 한국일보 여론조사 보도에 따르면 한나라당이 폭로한 국정원 도청 의혹과 관련 “사실일 것”이라는 답변(31.6%) 보다 “한나라당의 정치공략”이라는 응답(36.5%)이 더 많아, 유권자들이 네거티브 캠페인을 호의적으로 보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지역별 판세분석 기사가 많아지는 것도 이같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기사 제목과 단어 사용, 지면 배치 등 세부적인 부분에까지 문제를 제기·비판하는 등 언론시민단체의 모니터 활성화도 내부 견제의 주요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반면 이같은 보도태도 변화가 공정보도라는 원칙보다는 선거 판세 등 정치적 계산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한 신문사 정치부 기사는 “몇몇 신문의 편집기조나 방향이 달라졌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면서 “자신들이 제시하는 아젠다가 여론의 향배나 판세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판단하면서 혼란스러워 하고 있는 형국으로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언론노조 민실위 양문석 실장은 “양강구도가 계속되면서 편파보도 기세가 수그러드는 기미가 보이는 것은 사실”이라며 “이같은변화는 모니터 활동 등 언론 내부의 감시활동에 기인한 바도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판세에 근거한 언론사 자체적인 계산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