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반미보도 '우왕좌왕'

외면… 뒤쫓기… 차단… 중심 못잡아

김상철 기자  2002.12.11 14:15:54

기사프린트

언론의 반미 보도가 널을 뛰고 있다는 지적을 사고 있다. 언론은 의정부 여중생 사망사건 초기 대부분 이를 단순 처리했다가 시민들의 지속적인 문제제기가 거듭되자 7~8월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개정 문제를 부각시켰다. 한동안 잠잠하던 관련 보도는 미군 무죄판결 이후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으나 최근 정치권 움직임과 관련 이번엔 ‘반미 선 긋기’에 무게를 두고 있다. 네티즌,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SOFA 개정과 ‘대미 자존심 회복’ 요구가 전국적인 여론으로 부각된 가운데 언론이 반미 분위기 차단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언론이 사안이나 시기에 따라 여론을 뒤쫓다가 여론과 거리두기에 나서는 등 보도의 ‘무게중심’이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대부분의 언론은 네티즌 촛불시위를 기점으로 ‘주권 회복’ ‘부시 사과’ ‘SOFA 전면 재개정’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움직임을 보도했다. 그러나 이 문제가 정치쟁점화 하자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는 양상을 보였다. ‘대선정국 ‘반미확산’ 경계론’(동아) ‘정치권 반미 자제 움직임’(중앙) ‘정치권 ‘반미편승’ 경계/소파개정과 미군철수 구분해야’(조선) 등의 기사는 정치권의 반미 경계론을 주요하게 처리했다.

언론은 사설에서도 시민 여론에 대한 정당성, SOFA 개정에 대한 미국의 성의있는 태도와 한미정부의 사태 해결 노력을 강조하면서도 ‘반미 기류 확산’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다. 한국에서의 반미경향이 확대되면 그것은 미국에서의 반한성향을 자극할 수밖에 없고, 나아가 한미 동맹관계가 위협받을 수 있으며(조선) 반미시위가 선을 넘을 때, 미국 사회에도 반한감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은 한미관계의 최대 위기이고(한국) ‘주한미군은 떠나라’는 쪽으로 전개되는 상황을 방치해선 안된다(중앙)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 통일부 출입기자는 “여중생 사망이 촉발한 범국민적 시위가 한미 간 외교문제로 비화하자 언론 보도가 시위 양상은 양상대로 스트레이트 처리하면서 사설 칼럼을 통해서는 한미관계 악화를 우려하는 식으로 분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9일 SOFA 개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진 전국교수노조 황상익 위원장(서울대 의대)은 “언론의 최근 보도는 ‘동등한 한미관계 설정’이라는 핵심에서 점차 ‘정국 긴장 고조’에 초점을 맞추거나 여전히 미국을 옹호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비판했다. 황 위원장은 또 “언론은 SOFA 개정을 넘어 ‘한미상호방위조약’ 문제 등 보다 적극적으로 이슈를 개발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데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