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이전 공방이 뜨겁다. 그러나 92년 대선 때 당시 민자당 김영삼 후보가 “11개 중앙 행정기관의 이전을 통해 대전을 제2의 행정수도로 만들겠다”고 공약했을 때나, 지난 97년 신한국당 이회창 대통령 후보가 “대전 충남에 제2 행정수도를 건설하겠다”고 약속했을 때 언론은 이를 쟁점화하지 않고 단순 소개하는데 그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대선의 최대 쟁점이 되고 있는 것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특히 동아 조선 중앙이 ‘국가적 혼란’ ‘집값 폭락 재앙’ 등 한나라당 주장에 무게를 실어 쟁점화 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들 신문은 “구체적이고 정밀한 실행 프로그램 없이는 불가능”(동아), “화급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조선), “행정수도 이전이 실제 추진된다면 국가적 혼란도 예상” 등 부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 민자당이나 신한국당의 행정수도 건설 공약에 대해서는 문제삼지 않다가 민주당이 공약으로 내세우자 집값 폭락 등 수도권 주민들의 불안감을 조성하는 것은 편파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들 신문이 사설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칼럼이나 외부 기고를 통해 행정수도 이전에 대해 긍정적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이중잣대’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행정수도 이전은 균형발전 첫 발’(동아 2001.6.26), ‘행정수도 대전으로 옮기자’(조선 2002.10.4) 등 지방행정 전문가와 지방자치단체 간부의 기고를 게재했다. 중앙일보는 2000년 3월 ‘수도를 옮기자’는 다소 ‘도발적’인 제목으로 김동훈 국민대 교수의 글을 게재했다. 이 기고에서 김교수는 “수도기능이 이전하면 그곳은 행정의 중심으로, 또 서울은 경제의 중심지로 남아 좋은 보완이 이루어 질 것”이라고 최근 민주당 주장과 비슷한 논리를 폈다.
조선일보는 91년 9월 당시 최청림 출판국장의 칼럼을 통해 ‘수도를 옮겨라’라고 주장했다. 최국장은 당시 칼럼에서 “서울은 상업 및 문화기능을 갖는 도시로 남겨두고 행정 및 정치기능을 갖는 새도시의 건설을 검토함직한 시기다. 그래야만 수도권 인구분산 및 전국의 균형발전이 이뤄질 것”이라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