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연합뉴스가 북한의 조선중앙통신과 기사수신 계약을 체결하고 기사 서비스를 시작한 지 1주일여가 지났다. 그 사이 실시간으로 수신된 중앙통신의 ‘핵시설 재가동’ 기사가 국내언론에 보도되면서 적잖은 파장이 일었고 중앙통신발 사진도 간간이 신문지면에 게재됐다.
중앙통신 기사 서비스는 지난 12일 전후 제 궤도에 오른 이후 하루 평균 20~30건 정도가 수신되고 있다. 매일 마지막 기사 말미에는 ‘오늘 국문기사 송신은 이것으로 끝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라는 문구가 적혀 나온다. 연합뉴스 통일부 김귀근 기자는 “남측 상황을 비방하는 내용도 더러 있으나 이보다는 핵 문제 등 현안에 대한 북측의 논평 위주로 기사를 내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의 경우 아직 서비스 건수 등이 일정치 않다는 것이 직접 수신 받는 연합뉴스 사진부의 설명이다. 다만 수신되는 사진의 질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한다. 여중생 사망 사건과 관련 미군의 무죄평결에 항의하는 북측 청년학생들의 집회, 토지 정리사업 현장지도에 나선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진 등은 지난 10일, 14일자 몇몇 신문에 게재되기도 했다.
중앙통신 기사 서비스에 대한 반응은 아직 유보적이다. 한겨레 이홍동 남북관계부장은 “통일부를 통해 모니터 내용을 받아보는 기존 시스템에 비해 아직 보도 면에서 새로운 점은 없다. 사진의 경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일부를 출입하는 중앙일보 이영종 기자는 “중앙통신 수신 기사에 대한 속보성이 좀더 강화됐으면 한다”면서 “향후 계약내용을 보다 진전시켜 원문 서비스도 확대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연합뉴스측은 “중앙통신 기사에서도 크레디트를 명시하지 않는 고질이 재연되고 있다”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사실상 중앙통신 기사 수신이 연합뉴스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라는 크레디트를 명시한 곳은 없었다는 지적이다. 반면 연합뉴스 기사를 받은 외신들은 크레디트를 달거나 기사에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라고 언급해 국내언론과 대조를 이뤘다. 조복례 북한부장은 “중앙통신과 기사수신 계약에도 크레디트 명시 조항을 두었으나 기사를 받는 국내언론에서 이를 지키지 않는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