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세화 기획위원의 직무정지 이후 ‘특정정당 가입 및 활동’을 둘러싼 논란이 재연됐던 한겨레가 사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와 방식을 갖기로 결정해 일단 진정국면을 맞았다.
한겨레는 지난 13일 윤리위원회를 열어 “최근 사내외의 사태는 사원들의 정당가입 문제에 대한 사내 의견수렴을 더 이상 유보할 수 없다고 판단해 윤리강령 7조 정당가입에 대한 조항에 대해 사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리위원회는 이같은 내용과 정당가입에 관한 활동보고서를 16일 사내에 부착했다.
윤리위원회는 △16∼25일 사내게시판에 마련된 토론마당을 통한 토론 및 의견수렴 △26일 사내공청회 △27∼30일 정당가입 및 활동에 관한 윤리강령 개정 여부에 관한 사원 찬반투표 실시 등의 일정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대선 이후 특정정당 가입 및 정치활동에 관한 한겨레 내부의 뜨거운 토론이 펼쳐질 전망이다.
한편 조상기 편집위원장은 윤리위원회의 결정 이후 홍 위원에게 내렸던 직무정지를 해제해 ‘왜냐면’면의 편집권을 다시 부여했다. 조 위원장은 “윤리위원회가 내부토론을 통한 공론화 과정을 거치기로 결정한 이상 홍 위원의 직무정지를 철회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윤리강령 개정과 관련한 일정이 발표되자 홍 위원은 “투표가 있을 때까지 충분한 공론화를 위해 힘쓸 것”이라면서 “거취에 대해서는 결과가 나온 후에 생각하겠지만 극단적인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윤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연주 논설주간은 “대선 뒤로 미뤄놨던 논의가 조금 빨리 시작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사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그 결정을 존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겨레는 홍 위원의 직무정지 처분이 있은 뒤 이에 반발하는 민주노동당의 항의방문과 일인시위, 일부 필진의 기고거부선언 등으로 홍역을 앓았고 네티즌들은 인터넷상에서 이번 사건과 관련한 열띤 공방을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