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단은 익명의 네티즌이 오마이뉴스 기사 의견란에 올린 ‘동아의 내부용 여론조사 결과’에서 촉발됐다. 동아는 이 사건과 관련, 지난 7일자 1면에 ‘표심왜곡 부추긴다’는 기사를 실어 “인터넷 뉴스신문인 오마이뉴스 홈페이지 등의 자유게시판에 허위 여론조사 결과를 전하는 글이 올려졌다”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불법 선거운동의 배후에 민주당측 지지자들이 조직적으로 개입한 의혹이 짙다며 선관위에 진상조사를 요구한다”는 한나라당의 주장을 실었다.
오마이뉴스는 동아의 보도가 나오자 즉각 ‘동아의 인터넷 고사 작전’이라는 기사를 올려 “동아가 기사에서 선거법을 위반, 특정 후보에 유리하도록 여론조사를 조작하고 있는 것처럼 호도했다”고 주장했다.
동아와 오마이뉴스의 공방은 동아가 오마이뉴스 등 인터넷언론과 관련한 사회면 기사와 사설을 잇달아 게재하면서 계속됐다. 동아는 9일과 10일 잇달아 사회면에 ‘인터넷 권력’ ‘인터넷매체는 무소불위인가’라는 기사를 내고 10일 ‘인터넷권력도 민주화해야’라는 제목의 사설을 내보냈다. 동아는 사설에서 “사이버 언론을 표방한 일부 인터넷 매체들의 보도를 가장한 선거운동이 우려할 만한 단계에 이르렀다”고 지적하며 “인터넷 독자 역시 무책임한 정보를 쏟아내는 일부 사이버 매체를 걸러내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한 오마이뉴스의 반박이 다시 이어졌다. 오마이뉴스는 10일 ‘동아, 인터넷과의 전쟁 선포?’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동아의 기사는 인터넷언론의 순기능은 빼놓고 역기능만 강조하고 있으며 인터넷언론이 공간과 시간의 한계를 갖고 있는 언론의 훌륭한 보완매체라는 사실을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오마이뉴스는 기사에서 “동아가 지적한 인터넷 게시판의 익명의 폭력은 자제돼야 하지만 인터넷의 순기능과 역동성을 외면하는 동아의 보도는 21세기 종이신문의 치기로밖에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공방에 대해 한 사회부 기자는 “언론매체 사이의 건강한 비판은 필요하다”면서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은 서로의 역할을 인정하는 상호보완관계를 유지해야 하는데 감정적인 공방으로 보여 아쉽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