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청와대 기자실 열린다

인터넷 매체·전문지 등에 출입·취재 허용 방침

서정은 기자  2003.01.08 11:05:52

기사프린트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열린 청와대’ 구상이 구체화하면서 청와대 기자실도 인터넷 매체, 외신, 전문지 등에 폭넓게 개방될 전망이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인터넷 매체, 외신, 지방지, 전문분야 언론 등을 구분하지 않고 ‘사이비 언론’이 아닌 언론사에 대해 자유로운 청와대 출입과 취재를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인수위 대변인실 신용훈 행정관은 “노 당선자는 그동안 국민 알권리 차원에서 인터넷 언론도 존중돼야 하고 또 자유로운 취재를 보장하겠다고 강조해왔다”며 “구체적으로 어떤 매체를 지목한 것은 아니지만 실무 절차상 심사와 등록과정을 거치면 인터넷 매체와 외신기자들의 청와대 출입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중앙일간지와 방송사, 일부 유력 지방 언론사들만 출입이 허가돼 지나치게 폐쇄적이라는 지적을 사온 청와대 기자실에 일대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인수위의 ‘열린 청와대 기자실’ 방침으로 인터넷 매체 등의 청와대 취재가 허용된다고 해도 기존 청와대 출입기자단 및 풀 취재단 가입, 브리핑 참석 등의 문제는 남아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 익명을 요구한 한 청와대 출입기자는 “많은 기자들이 일정한 자격을 갖춘 언론사 모두에게 청와대를 개방해 브리핑제로 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지만 일부 기자들은 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도 보이고 있다”며 “인터넷 언론 등에 청와대가 출입을 허가한다고 해도 기자단 가입이 안될 경우 브리핑 참석 여부 등을 놓고 논란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인터넷 매체들은 인수위 방침에 대해 “대환영”이라고 반기면서도 “전면적인 브리핑룸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오마이뉴스 정운현 편집국장은 “브리핑룸 제도를 도입해 매체의 연속성과 기자 신원만 확인되면 모두 등록해 취재할 수 있어야 한다”며 “곧 2명의 기자를 청와대 출입으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