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북핵 보도 중심없이 '왔다 갔다'

김상철 기자  2003.01.08 11:35:51

기사프린트

일부 언론 미 입장 따라 강온 ‘방황’

‘단호대처’ 주문서 외교적 해결 선회





북핵 문제를 둘러싼 일부 언론보도가 강온 양극을 치닫고 있다. 미국내 강경 분위기를 주요하게 전하며 우려를 표명하다가 외교적 해결이라는 공식 입장이 나오자 보도 수위 역시 차분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핵 문제라는 현안에 대해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특히 미국의 동향이나 입장에 따라 보도 수위가 달라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연말 북한이 핵시설 봉인과 감시카메라 제거작업을 잇따라 강행하고 IAEA 사찰요원을 추방하는 등 긴장이 고조되자 지난달 24일 국내 언론은 미 언론 보도를 받아 미국 내 강경 분위기를 주요기사로 처리했다.

‘“미, 대북 비외교적 대응 검토”/NYT “핵대결 격화되면 가능성 배제 못해”/일부 미 중진의원 “북, 이라크 보다 더 위협”’(동아일보) ‘북, 핵재처리시설 봉인 제거/NYT “미, 비외교적 행동 고려할 지도”’(조선일보) 등이었다.

강경론을 둘러싼 보도는 지난달 30일 이른바 ‘맞춤형 봉쇄정책’이 거론되면서 대대적으로 거론됐다. ‘미, 북핵 포기 고강도 압박 고립-봉쇄 추진’ ‘경제·정치제재로 핵개발 포기 압박’ ‘북 강공에 맞선 봉쇄작전’ ‘미국, 주변국 총동원 ‘북한 숨통죄기’’ 등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보도 등을 바탕으로 미국의 강경 시나리오를 전하는 기사가 쏟아졌다.

이와 관련 동아일보는 지난달 24일자 사설에서 “북한 핵문제가 터진 이래 정부는 일관되게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강조했지만 그 사이에 북한은 국제사회에 대한 협박의 강도만을 높여왔다. 이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보다 강력한 처방을 모색해볼 때가 됐다는 판단”이라며 정부 방침을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지난달 31일 미국의 ‘맞춤형 봉쇄’ 정책과 관련 “북한의 요구를 고분고분 들어주던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북핵 문제를 풀겠다는 부시 정부의 의지가 강하게 담긴 셈”이라고 해석했다.

그러나 ‘맞춤형 봉쇄’ 정책이 거론된 지 이틀만에 미 정부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는 보도가 이어졌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달 30일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하고 미 정부방침의 일방 수용에 문제를 제기한 데 이어 부시 미 대통령이 군사행동을 고려하지 않는다며 외교적 평화적 해결 입장을 밝히면서 언론의 이같은 관측과 전망은 무색해졌다.이후 언론보도 역시 한국정부를 중심으로 한 주변국의 외교적 노력을 보도하는 쪽으로 ‘선회’했다.

지난 6일자 조선일보 사설에서처럼 “지난 연말만 해도 당장 위기로 치달을 것 같았던 상황이 일시적 소강 국면에 접어든 것”이다. 조선일보는 이 사설에서 “우선 미·북 양측이 상황을 더 악화시킬 추가적 조치나 발언을 자제하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 언론을 통해 흘러나온 ‘맞춤형 봉쇄’ 정책 전후로 단호 대처를 촉구했던 보도 양상이 ‘평화적 해결’이라는 미 정부의 공식 입장이 나온 이후 사실상 수위가 낮아진 것이다.

연합뉴스 정일용 논설위원은 “북핵 문제는 단지 미국의 이해만으로 한정할 수 없는 국제적인 문제”라며 “일부 언론은 ‘맞춤형 봉쇄’ 정책 사례에서 보듯 미국 언론에서 거론됐다고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하는 등 여전히 미국 편향의 시각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