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민 자립방안 사원들 '반대'

노조 설문조사 '경영자료 공개·책임 따져야

김상철  2000.11.07 11:22:20

기사프린트

국민일보 '자립방안' 파문이 계속되고 있다. 국민일보는 26일 사원총회에서 사측이 7개항의 자립경영 실천방안을 설명하며 불가피함을 강조한 반면 대다수의 사원들은 노조에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반대입장을 명확히 했다.



자립경영기획단 단장을 맡고 있는 이종대 주필은 사원총회에서 "경향신문 문화일보 중앙일보 분리에서 보듯 신문의 분리는 정부정책이자 현실 추세"라며 "자립방안은 장기적인 회생방안이지 무책임한 경영발상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자립경영기획단이 지난 19일 공개한 실천방안은 ▷편집국을 제외한 전부서 분사와 명예퇴직 등을 통해 297명 감축 ▷임원 30%, 직원 15% 임금삭감 ▷15만3000부 감부, 4개면 감면 ▷구로동으로 사옥 이전 ▷전 사원 광고수주, 신문확장 의무화 ▷윤전기 매각 등을 통해 197억 원을 절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회사는 또 임금삭감의 경우 1년 연봉계약직 전환 방안과 택일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날 사원들은 회사의 경영자료 공개, 경영책임 등을 집중 추궁하며 회사방침을 거세게 비판했다.



이에 앞서 노조(위원장 김용백)가 24일~26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대다수 사원들은 회사의 자립방안에 대해 거부의사를 밝혔다.



먼저 204명이 참여한 설문에서 150명이 대대적인 분사에 반대했다. 51명은 '최대한 고용보장과 근로 및 임금조건을 얻어내는 것을 전제로 찬성한다'고 밝혀 응답자의 98.5%가 분사 자체에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또 사원들은 항목 별로 급여삭감(91.6%), 감부@감면(79.4%), 사옥이전(81.8%), 전 사원 광고수주(88.2%), 윤전기 매각(98.0%) 등에 광범한 반대의사를 밝혔다. 노조는 "경영부실의 책임을 사원들에게 고스란히 전가하는 경영진에 대한 강한 불만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회사가 자립방안을 공개한 이후 아직 구체적인 실행계획이나 향후 일정을 밝히지 않아 사원들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한 기자는 "어디까지나 안을 발표한 수준이고 회사측의 구체적인 움직임이 없는 상황에서 굳이 비대위를 먼저 꾸리고 나설 이유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노조측은 "국민일보를 송두리째 해체하려는 분사방안을 놓고 협상할 의사는 없다"고 못박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