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이후 인터넷이 여론형성의 주요 축으로 급부상한 가운데 일부 언론의 인터넷 관련 보도가 ‘견제’의 수위를 넘어섰다는 우려를 사고 있다. 특히 동아일보는 최근 김기보씨의 촛불시위 자작극 파문 전후 인터넷매체의 윤리 문제까지 전면에 내세우는 등 비판의 수위를 높여 ‘인터넷 때리기’라는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조선일보는 지난 8일자 ‘첫 제안자 ‘앙마’는 오마이뉴스 기자’에서 “김씨는 당시 ‘네티즌, 광화문 촛불시위를 제안하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자신의 글이 남의 글인 것처럼 위장해 보도했었다”며 자작극 파문을 먼저 부각시켰다. 이어 동아일보는 지난 9일자 ‘인터넷윤리 이 정도인가’ 사설에서 인터넷언론의 권력화 문제를 제기했다. “인터넷매체가 이제는 여론을 왜곡하고 대중을 선동하는가 하면 의견이 다른 사람에게는 사이버테러까지 감행하는 등 새로운 권력기관으로 자리잡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는 것이다. 또 “거짓여론을 바탕으로 촉발된 촛불시위는 결과적으로 반미시위로 이어졌다”며 전국적으로 확산된 촛불시위를 ‘자작극에서 비롯된 반미시위’로 폄하하기도 했다.
동아일보는 지난해 12월 ‘한미관계 제 갈길 찾아야 한다’ 사설에서 “주말 저녁 서울 광화문 일대 등 전국에서 메아리친 학생과 시민들의 외침보다 더 생생한 한국인의 목소리가 어디에 있는가”라고 언급했었다. 인터넷기자협회는 지난 9일 동아일보 보도에 대해 논평을 내고 “동아의 기사와 주장들은 인터넷매체가 쌓아온 신뢰성을 말살하려는 주장이 아닌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인터넷 비판에 무게를 실은 보도양상은 인수위 관련 보도로 확대됐다. 인수위에서 인터넷을 통한 인사추천 방식을 추진하자 ‘인터넷 정치가 만능인가’(동아) ‘국민참여 인사 잘될까’(세계) ‘인터넷인사 부작용 경계해야’(조선) ‘온라인 인사의 허와 실’(중앙) 등 언론은 사설을 통해 포퓰리즘의 위험을 우려했다. 조선일보의 경우 ‘인터넷정치 하나…네티즌도 장관추천’ ‘노당선자 인터넷에 신경…인수위에 강한 질책’ ‘또 인터넷정치?/요구 많아 감사청구’ 등의 기사에서 ‘인터넷 인사’의 부작용을 우려하거나 인터넷을 의식하는 노 당선자의 면모를 부각시켰다. 동아일보는 15일자 신문에서 ‘인사청탁 ‘새정부 줄대기’ 법석’ 기사에서 “일부 정부부처에서는 새 장관에 지역 학연이 있는특정인사를 밀기 위해 온라인 추천에 나서려는 ‘세몰이 움직임’도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김영호 전 세계일보 편집국장은 “인터넷 장관추천은 그것이 임명의 주요 기준이 아닌 한 참여민주주의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는 조치”라며 “인터넷에 대한 과도한 비판이 여론형성의 주요 축으로 부각된 데 대한 불만이나 불안감에서 비롯된 것은 아닌지 짚어볼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