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중 전경련 상무의 ‘인수위 목표는 사회주의’라는 발언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조선 중앙 등이 발언의 파장이나 진위를 파악하기 보다는 인수위와 재계의 불신에서 비롯된 사건으로 몰아가는 보도태도를 보여 일방적인 ‘재계 감싸기’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조선일보의 경우 검찰의 삼성 타워팰리스 내사를 놓고도 ‘삼성에 대한 표적수사’라는 시각을 보이는 등 노골적인 재계 편향적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다.
조선일보는 지난 13일자 사설에서 “(당사자가) 발언 자체를 부인하고 있어 진실여부는 분명치 않다”면서 “그럼에도 파문이 커지고 있는 것은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측과 경제계가 아직도 서로를 의심 섞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중앙일보도 같은 날 사설에서 “발언의 진위나 단어 선택의 적합성을 떠나 인수위나 새 정부 관계자들은 자신들의 성향, 그 동안의 발언 때문에 나라 안팎에서 NYT 보도와 같은 시각도 없지 않다는 점을 인식”하라며 이번 사태의 책임이 인수위에도 있음을 강조했다. 이같은 시각은 이번 사태의 해결책을 놓고도 “인수위가 먼저 손을 내미는 것이 순서”(조선)라거나 “재계와 기업인들의 불안감을 덜어주기 위한 노력”(중앙)을 기울이라는 ‘엉뚱한’ 처방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조선일보는 박정훈 경제부 차장대우의 기자칼럼 ‘언로가 막혀서야’에서도 “김 상무 본인이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한 만큼 현재로선 일단 그의 말을 믿을 수밖에 없다”며 이번 사태에 대한 인수위의 대응이 “재계의 ‘입’을 봉쇄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는 등 전경련을 두둔하는 듯한 보도를 했다. 그러나 이같은 보도태도는 그동안 각종 의혹사건에 대해 정부가 사실관계를 부인할 때마다 “정부측 말을 액면 그대로 믿을 사람은 없다”며 추적 보도했던 것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특히 조선일보가 검찰이 인허가 과정에서의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삼성 타워팰리스에 대한 내사에 들어간 것과 관련, ‘삼성 손보기’라는 시각으로 보도한 것에 대해서도 ‘재계 편들기’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조선일보는 지난 14일 대부분 언론이 관련 기사를 사회면에 게재한 것과는 달리 1면에 배치한 후 3면에 ‘재계 “착공 4년 지났는데 왜 갑자기…”/타워팰리스 내사 삼성손보기인가’라는 제목으로 해설기사까지 실었다. 이는 삼성 타워팰리스와 관련해 그간 제기된 의혹에 대한 사실규명보다 ‘정치적 의도’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삼성을 ‘피해자’의 위치에 올려놓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노무현 당선자측 이낙연 대변인은 ‘부적절한 기사’라며 “대응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김 상무의 ‘사회주의’ 발언과 관련 경향신문은 “그의 해명은 석연치 않다. 전경련 차원에서 보도경위를 규명”해야 한다고 밝혔고 대한매일은 ‘전경련 간부의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꼬집는 등 조선 중앙과는 다른 시각으로 보도했다. 한겨레도 13일과 14일 연이어 ‘전경련 상무의 사회주의 발언 파문’, ‘전경련 의도를 경계한다’는 사설을 싣고 “뉴욕타임스 기사 앞뒤 문맥으로 보아 곧이곧대로 믿기는 어렵다”며 “전경련은 보도 경위를 낱낱이 파헤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