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경 CBS 전 사장이 CBS 사장 복귀를 포기하면서 CBS 사태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CBS 재단이사회와 CBS 노조는 지난 11일 권호경 전 사장의 사장 선임 불참을 골자로 한 수습안에 전격 합의함으로써 지난 4년여간 극심한 갈등을 빚어온 CBS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양측은 이날 △권호경 전 사장의 사장 선임 포기 △CBS 노조의 3년 무분규 선언 △CBS 분규사태와 권 전 사장에 대한 노조 사과문 게재 △6개월∼1년간 관리사장 선임 △CBS 발전 쇄신안 마련 △민·형사 소송 전면 취하 등에 합의했다. 양측 합의에 따라 최근 이사회가 실시한 사장 공채는 사실상 없던 일이 됐고, 비자금 조성 의혹과 관련 권 전 사장을 상대로 노조가 제기했던 형사 고발도 취하될 전망이다.
CBS 이사회는 이에 따라 오는 18일 이사회를 열고 대행 체제였던 이사장, 부이사장, 기록이사 등 이사회 임원을 선임할 예정이며 당분간 CBS 내부와 교계 사정을 잘 아는 관리사장을 선임해 사태 수습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수습안 합의는 권 전 사장이 스스로 사장 복귀를 포기함으로써 이뤄졌다. CBS 사태의 핵심 쟁점이었던 사장 선출 문제와 관련 권 전 사장이 “CBS의 새출발을 위해 사장 선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이사회에 밝혀온 것. 이에 대해 CBS 내부에서는 “CBS 사태가 확대되면서 CBS 존립 자체를 우려하는 안팎의 위기감이 높아졌고 이를 권 전 사장이 외면하지 못한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CBS 노조가 권 전 사장을 불법 비자금 조성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것도 사장 선임을 포기하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CBS 노조는 “수습안 합의는 CBS의 미래와 개혁을 위해 서로 한발씩 양보한 것”이라며 “이번 수습안이 노사가 서로 신뢰를 쌓고 CBS 발전을 위해 나아가는 첫 걸음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사장청빙위원회 구성 등 기존 합의안이 번번이 지켜지지 않아 이사회에 대한 조합원들의 불신이 고조돼 있는 상황에서 이번 수습안이 얼마만큼의 개혁성과 실천력을 담보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권호경 3연임’은 무산됐으나 CBS 사장 선임 방식, 이사회 개혁안, CBS 발전을 위한 쇄신안 등 이사회가 제시할 개혁안들이 어떤 내용으로 마련되고 시행될 것인지에 CBS 사태의 향방이 달려있다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