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새 정부 흠집내기 어디까지…

객관적 평가보다 '점령군' '길들이기' 갈등만 부각

박미영 기자  2003.01.22 11:05:54

기사프린트

‘인터넷 정치’ ‘재벌 죽이기’ ‘공무원 길들이기’ 등 새 정부가 구상중인 정책기조에 대해 일부 언론이 객관적인 평가보다는 갈등을 부추기거나 부정적인 보도태도로 새 정부에 대해 의도적인 ‘흠집내기’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새 정부의 경제개혁 관련 정책을 ‘재벌 죽이기’로 단정하고 재계와의 갈등을 의도적으로 부각시킨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기업활동 위축 경제에 충격 줄 수도’(조선), ‘기업 경영의 자율성 침해될 것’(동아) 등 재계의 주장을 ‘전달’하는 기사가 쏟아졌고, ‘강력 반발’ ‘재계 비상’ 등 새 정권과 재계와의 갈등을 부각시키는 보도가 주를 이뤘다. 특히 동아 조선은 새 정부의 경제관련 정책이 ‘삼성을 타깃’으로 하고 있는 것처럼 보도하는 등 삼성과의 갈등을 의도적으로 부추기기도 했다. 조선과 세계는 검찰의 삼성 타워팰리스 내사를 놓고도 ‘삼성에 대한 표적수사’라며 사실 규명에 앞서 ‘정치적 의도’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새 정부 ‘흔들기’라는 지적을 받았다.

장관 인사 시 인터넷을 통해 제보나 추천을 받기로 한 것에 대해서도 언론은 ‘인터넷 정치’ 또는 ‘포퓰리즘’이라고 몰아 부치는 한편 참여민주주의의 확대라는 의미는 애써 외면했다. 대선공약 이행을 둘러싼 인수위와 부처간의 이견에 대해서도 ‘인수위의 과욕과 월권행위’(조선), ‘행정부 일각의 알아서 기는 분위기’(중앙)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외에도 새 정부에 대한 비판에 ‘감정’이 섞인 것 아니냐는 지적은 최근 이들 신문의 칼럼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점령군’이 되어 사회 곳곳에 진주하는 양상’ ‘이긴자(者)가 모두 차지해 반대자를 숙청하는 분위기’(조선), ‘‘정부 위의 정부’내지 ‘점령군’처럼 오만을 부리는 일부의 고압적 태도’(중앙) 등 원색적인 표현을 동원해 비판했다.

또 정부공통 양식에 따라 받은 ‘서약서’를 놓고 동아일보는 ‘인수위 서약서 살벌 “기밀누설은 이적행위 엄중처벌”’이라며 인수위가 특별히 살벌한 내용의 서약서를 받은 것처럼 보도했으며, 조선일보는 전경련이 주선한 모임을 두고 “노 당선자와 경제 5단체장간의 모임을 주선하는 데 전경련이 빠졌다”며 ‘전경련 왕따?’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특히 조선일보는 이같은 보도에 대해 정정보도를 요청한 것과 관련해서도 ‘인수위 ‘문제’ 보도마다 정면대응/어디무서워서…살벌한 기자실’이라고 공격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