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인수위-동아·조선 '정면충돌'

"특정의도 있다" 강경 분위기에 "인수위 과잉대응" 맞서

김상철 전관석  2003.01.22 11:12:21

기사프린트

보도를 둘러싼 인수위와 동아일보 조선일보 간 갈등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활동의 절반이 보도에 대한 해명·정정으로 채워진다”는 한 출입기자의 말처럼 인수위는 대변인 브리핑, 소식지 ‘인수위 브리핑’ 등을 통해 각종 언론보도에 대한 입장을 수시로 밝히고 있다. 반면 공식 정정·반론요청은 동아일보 조선일보에 대해서만 취해졌다. 새정부 출범을 앞두고 불거진 이같은 ‘긴장관계’의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수위 대응 조치

일부 보도에 대한 대응은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아울러 보도가 가지는 ‘의도’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인수위는 지금까지 조선일보 기사 2건(18일자 ‘노, 일에 북 중유공급 요청’ 15일자 ‘전경련 왕따?’)에 대해 정정을, 1건(14일자 ‘타워팰리스 내사 ‘삼성 손보기’인가’)에 대해서는 반론보도문 게재를 요구했다.

또 동아일보 기사 2건(15일자 ‘인사청탁 ‘새정부 줄대기’ 법석’ ‘노 ‘패가망신 경고’ 무색’)에 정정보도를 요청했다. 이 가운데 조선일보는 ‘전경련 왕따?’ 기사와 관련 16일자에 정정기사를 게재했다.

인수위는 지난 16일 언론자유와 보도책임을 함께 중시해야 한다며 “최근 인수위가 일부 언론보도를 적시해 정정을 요청한 것은 국민의 혼란과 오해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정권 인수인계를 위한 불가피한 일”이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일부 보도에는 인수위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의도마저 엿보인다”고 지적했다.

인수위가 “시종일관 특정 방향의 이미지로 몰고 가려는 일부 보도” 사례로 거론한 두 신문의 기사는 조선일보 11일자 김대중 칼럼 ‘‘점령군’의 진주?’ 16일자 ‘“어디 무서워서”…살벌한 기자실’ 15일자 사설 ‘인수위 왜 자꾸 부처들과 충돌하나’ 동아일보 16일자 사설 ‘‘인사청탁 불이익’ 반드시 지켜야’ 기사 등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한두번 사실 관계가 어긋나는 보도가 있었다면 취재과정, 취재경쟁에서 비롯된 실수로 이해할 수도 있겠지만, 그같은 사례가 되풀이될 경우 특정한 의도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며 두 신문의 보도태도에 불만을 내비쳤다.

이낙연 당선자 대변인은 지난 20일 정정보도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소송제기 방침 여부에 대해 “다음 조치를 위해 미리 깔아두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동아 조선 관련 보도

인수위 출범이후 동아일보 조선일보는 ‘인터넷 정치’, 재계나 부처 갈등, 시민단체와 관계 등을 문제 삼았다. 인수위-재계, 인수위-부처 간 갈등양상과 관련 동아일보는 ‘인수위 검찰인사위에 인사추천권/검찰 “포퓰리즘적 발상 아닌가”’ ‘인수위-재계갈등 증폭’ ‘“노 공약에 대충 맞추자”/정부부처 인수위 눈치보기’ ‘“재벌 때리기 또올라” 재계 긴장’ 등으로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삼성이 재벌개혁 타깃인가’ ‘타워팰리스 내사 ‘삼성 손보기’인가’ 등의 기사에서 삼성 문제를 부각시켰으며 ‘인수위는 또하나의 정부 아니다’ ‘인수위 왜 자꾸 부처들과 충돌하나’ 사설과 ‘노, 공무원 길들이기 나섰다’ 등의 기사로 부처 갈등을 다뤘다.

이밖에 동아일보는 ‘노정부 시민단체 입김 세진다’ 사설, ‘시민단체 정치세력화 우려된다’ 등의 기사를 통해 새정부와 시민단체 관계에 우려를 표명했다.

조선일보는 ‘‘인터넷인사’ 부작용 경계해야’ ‘“인터넷 장관추천은 무책임 발상”/한나라’ ‘인터넷으로 장관추천 ‘명암’’ 등의 사설 기사를 통해 ‘인터넷 정치’를 비판적으로 다뤘다. 동아일보 조선일보는 올들어 지난 18일까지 각각 6건, 5건의 기자칼럼을 통해 인수위 방침이나 운영 등을 비판하기도 했다.

한편 인수위측의 정정요구에 대해 동아일보는 17일자 사설에서 “인수위측이 언론보도의 본질은 외면한 채 ‘흠집내기’라며 발끈하고 고압적 자세를 보이는 것은 ‘토론공화국’은커녕 보다 기본적인 언론자유를 손상하는 위험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밝혔다.

조선일보는 사설 등을 통한 공식 입장 표명은 하지 않았다. 조선일보는 16일자에 ‘인수위, ‘문제’ 보도마다 정면대응/“어디 무서워서”…살벌한 기자실’ 기사를 보도했다.

또 18일자 외부칼럼 ‘벌써 과잉반응인가’를 통해 “국가기관에 대한 언론의 보도는 비록 악의적인 내용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완전히 허위적인 보도가 아닌 이상 이를 막아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김상철·전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