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언론인 정당가입 '시기상조' 우세

한겨레 '정당가입' 관련 사원투표 "반대" 56.3%…일부 기자들 투표반대 서명운동도

전관석 기자  2003.01.22 00:00:00

기사프린트

한겨레가 지난 20일부터 이틀간 ‘정당가입을 금지하고 있는 윤리강령의 개정 여부’를 묻는 전사원 투표를 실시한 결과 “정당가입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찬성한다”는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번 투표에는 총 548명의 유권자중 419명이 참여, 76.5%의 투표율을 보였으며 “정당가입 반대” 56.3%(236명), “정당가입 찬성” 39.6%(165명) “무효” 4.1%(17명)로 각각 나타났다. 윤리위원회는 조만간 회의를 소집해 투표결과 등을 고려한 입장을 정리, 발표할 예정이다. 이로써 5개월 동안 논란이 계속돼 온 ‘특정정당 가입’ 논쟁은 현행 윤리강령을 유지하는 쪽으로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투표결과는 법적인 보장에도 불구하고 현직 언론인의 정당가입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사내공청회와 게시판 토론 등을 통해 “지면이나 취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보여주면 된다” “투표가 아닌 윤리위 차원에서 강령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기도 했으나 다수를 점하지 못했다. 그러나 정당가입 반대 입장이 지배적일 것이라는 추측과는 달리 찬성한다는 의견도 40%에 육박, 정당가입에 대한 인식에 상당한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투표결과로 인해 한겨레의 정당가입 문제가 완전히 정리됐다고 볼 수는 없다.

사내 일각에서 질문양식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한겨레 노조는 투표당일인 20일 성명을 내 “구성원들에게 ‘정당가입 찬반’을 묻는 것은 명백한 잘못이며 윤리강령 조항의 ‘개정 필요성 여부를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일부 기자들은 투표에 반대하는 서명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노조는 투표결과와 상관없이 투표방식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윤리위원회에 제기한다는 방침인 반면 윤리위는 “질문문항은 큰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는 입장이어서 후유증이 예고되고 있다. 또한 이번 투표결과로 ‘당원’ 기자들에게 ‘탈당’과 ‘퇴사’의 선택이 강요될 경우 또 한번의 파문이 일어날 수도 있다. 투표결과에 대해 민주노동당에 가입한 홍세화 기획위원과 조준상 경제부 기자는 “시간을 갖고 생각해 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관석 기자 sherp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