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역 별로 강제 폐쇄 등의 갈등을 겪었던 기자실 개방 문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새 정부가 기자실 개방을 골자로 하는 개선 방안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임채정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은 지난 20일 “우리나라 기자실을 미국처럼 등록제로 운영, 취재시스템을 바꿔 브리핑 기자실 제도로 개선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는 인수위의 청와대 기자실 개방 방침을 타 부처로 확대 적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이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앞서 인수위는 인터넷매체, 외신, 지방지, 전문분야 언론 등을 구분하지 않고 ‘사이비 언론’이 아닌 언론사에 대해 청와대 출입과 취재를 허용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인수위의 한 관계자는 등록제 운영, 브리핑제 도입 등과 관련 “현재로선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어렵다. 개선방안이 논의 중”이라며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반면 또다른 관계자는 “부처 별로 강제할 사안은 아니지만, 기자실 운영개선에 대한 방안도 제시될 것”이라며 개선안 마련을 시사했다. 이같은 움직임에 따르면, 청와대를 비롯한 부처 기자실 운영개선의 골격은 언론사에 취재문호 개방, 브리핑 정례화 등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자실 폐지, 브리핑룸 전환은 특히 시민단체에서 그동안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던 사안이었다. 시민단체와 공무원직장협의회는 기자실 운영의 폐쇄성·배타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사무집기 등 기자실 운영비의 관공서 부담, 출입처와 유착관계 등을 거론해 왔다. 지난해 공무원들의 기자실 강제폐쇄 등 지역별로 불거진 공직협과 기자들 간의 갈등은 이런 문제점에서 비롯됐다.
공직협과의 충돌 양상에 이어 올 들어 인수위 차원에서 기자실 문제가 거론됨에 따라 기자실 운영개선을 기자들이 주도적으로 풀어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높아지고 있다. 기자실 운영개선은 출입처와 연관된 해외출장, 회식 등 취재관행 개선과도 연관되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자실 개방, 브리핑룸 전환운동을 전개한 경남민언련 강창덕 대표는 “실제로 브리핑룸으로 전환한 이후 특별히 문제가 된 사례는 없었다”면서 “무엇보다 기자들이 기존 기자실에 대한 마인드를 바꾸는 게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김기태 기자협회 광주전남협회장은 “기자실 개방이 거부할 수 없는 추세인 것만은 분명하다. 브리핑룸으로 전환한 사례도 많은 만큼 개선 모델에 대한 기자들차원의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