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 주권을 보장하기 위해 방송법상 의무적으로 규정돼 있는 시청자참여프로그램 KBS ‘열린채널’이 시청자들의 관심 속에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프로그램 신청접수가 크게 늘면서 자난해 가을부터 매주 방송이 이뤄지고, 프로그램의 소재와 질도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심의방식, 열린채널 운영협의회 구성, 제작 신청·접수의 간소화 등 시청자단체들이 지적해온 운영상의 문제점들은 그대로 남아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2001년 5월 시작된 ‘열린채널’은 시청자들과 시민단체들의 프로그램 제작 여건 미비, 홍보 부족 등으로 프로그램 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며 방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으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매주 방송이 편성되는 등 탄력을 받고 있다.
매주 토요일 4시 30분에 방송되는 ‘열린채널’은 2001년 12편의 프로그램이 접수돼 9편이 방송됐으나 지난 2002년에는 신청건수 31편, 방영건수 26편으로 크게 급증했다. 한달 평균 1편 정도 방송되던 것이 지난해 2편으로 늘어난 셈이다. 특히 지난해 9월부터는 매주 프로그램이 방송되면서 안정세를 타고 있다.
일반 시청자들의 참여가 늘어나고 프로그램의 소재와 형식도 다양해지는 추세다. 2001년에는 방송된 9편 가운데 7편이 시민단체 제작 프로그램이었으나 지난해에는 시민단체 프로그램 15편, 일반 시청자 프로그램 11편으로 비율이 비슷해졌다.
또 일본 무국적자 이야기, 중앙아시아 키르키즈스탄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에게 유기농법을 전파하는 ‘전국 한농학교’ 학생들의 활약상, 화교의 실태와 애환 등 기존 언론에서 다루지 않았던 주제들이 시청자들의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됐다. 프로그램의 성격상 국내 다큐멘터리가 압도적이지만 해외 제작물, 드라마 등도 간간이 눈에 띤다.
KBS 시청자참여프로그램관리부 박재영 PD는 “초창기에 비해 신청건수가 크게 늘었고 현재 제작을 협의중인 프로그램도 7∼8편 가량 된다”며 “프로그램의 소재와 제작 기법이 점차 다양해지고 주제의식이 분명한 수준작들도 많이 접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시청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프로그램 수급은 활발해지고 있으나 ‘열린채널’ 운영지침의 문제점들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시민단체들이 지난해 △심의방식 개선 △운영협의회 구성시 시민단체 추천 몫늘리고 KBS 관계자 및 방송위 직원 참여 배제 △제작지원금 일괄 지원 △KBS 장비·시설 지원 등을 골자로 한 ‘열린채널’ 운영개선 의견서를 제출했으나 지난해 말 개정된 ‘열린채널’ 운영지침은 이러한 요구들이 거의 수용되지 않았다.
시청자참여프로그램 시민사회단체협의회는 이와 관련 지난 22일 성명을 내고 “지난해 말 확정된 ‘열린채널’ 운영지침은 시민단체 추천 몫 위원을 1명 늘린 것을 빼고는 정작 문제가 되는 조항을 개정하지 않았다”며 유감을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