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연합노조 "낙하산 사장은 이제 그만"

공모제 추진위해 특위도 구성…사측선 "반대"

김상철 기자  2003.02.12 11:35:51

기사프린트

전국언론노조 연합뉴스 지부(위원장 윤근영)가 사장 공모제 도입을 위한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연합뉴스 지부는 지난달 공모제 도입을 결의한 데 이어 지난 6일 ‘공모방식 사장선임 쟁취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공모방식 쟁취특위’는 3월 21일 개최 예정인 주총에 대비, 공모제 도입을 위한 각종 추진사업을 전담하게 된다. 연합뉴스 지부와 특위는 지난 10일 연석회의에서 오는 14일 ‘낙하산 인사 저지 및 공모방식 쟁취를 위한 결의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서울과 지방의 전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한 결의대회에서 소유구조 왜곡과 낙하산 인사의 폐해, 사장 공모제 의미 등을 담은 기조발제와 토론, 향후 추진방향 등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앞서 지부는 지난 3일 △연합뉴스사장 모집공고→추천위원회 평가→주총·이사회에 사장추천 △최대주주인 KBS MBC(또는 실질주주인 정부)가 추천위원회에 추천권한 부여 등을 골자로 하는 ‘연합뉴스 사장 공모방식 선출제안서’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문화관광부 장관, KBS·MBC 사장 등에게 전달했다.

한편 지부의 공모제 추진과정에서 김근 사장이 노사공동의 공모제 추진에 반대의사를 밝혀 사내 긴장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김 사장은 지난 5일 오마이뉴스와 인터뷰에서 “‘공영적 사장 선임절차’는 현재 추진 중인 연합뉴스사법에 반영되어 있다”면서 “회사경영에 가장 효과적인 CEO를 영입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공모제는 민영화로 가자는 것”이라며 공모제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김 사장은 또 사장 유임과 관련 “긍정적인 평가가 이뤄져서 유임된다면 생각해 봐야겠다”고 언급했다. 김 사장의 이같은 발언은 지부가 특위를 구성하는 계기가 됐다. 지부는 김 사장의 공모제 반대의사와 유임 문제가 맞물려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5일 지부 명의로 “김 사장이 공모방식을 거부한 채 권력층과 친분관계로 다시 유임한다면 이는 또다른 낙하산 인사로 규정, 단호히 대처한다”는 입장의 반박문을 오마이뉴스에 게재하기도 했다. 공모제 도입을 둘러싼 지부와 김 사장 간 시각 차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다.

‘공모방식 쟁취특위’는 지난 7일 김 사장과 가진 면담에서 “공모방식 없는 사장 유임은 밀실·정실·낙하산 인사이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공모제 도입에 협조해줄 것을 요구했다. 반면 김 사장은 “경영진이 노조와손잡고 공모방식을 도입하라고 대주주에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회사 차원’의 공모제 추진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시했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