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DTV 전송방식 다시 수면위로

언론·시민단체, 유럽식 변경촉구 집회

서정은 기자  2003.02.12 00:00:00

기사프린트

지상파 디지털TV 전송방식 변경 논란이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다시 본격화하고 있다.

DTV 전송방식 변경을 요구해온 시민단체와 방송기술인, 방송사 노조 등은 노 당선자가 대선 기간 동안 “방송 현업인들의 의사를 존중하겠다”고 말한 것과 관련 인수위측에 정책제안서를 제출하는 등 전송방식 변경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DTV 방식 문제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한 나라의 방송 환경을 규정하는 중대한 사안이고 시청자들이 전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점에서 최소한 올 상반기 안에는 국민적 합의를 통해 방식 변경에 대한 정책적 결론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DTV 방송방식 변경을 위한 소비자운동’(DTV소비자운동)과 방송사 노조들은 지난달 24일 인수위에 정책제안서를 제출, △미국방식 결정 백지화 △디지털 전환 일정 재조정 △전송방식 재검토를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본방송을 시험 방송으로 전환한 뒤 사회 각 분야 전문가들의 철저한 검증작업을 통해 DTV 전송방식을 유럽방식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것이다.

DTV소비자운동 전국언론노조 방송사노조협의회 등은 또 지난 4일 ‘디지털TV 전송방식 재검토’를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갖고 DTV 문제에 대한 노무현 당선자의 의지와 약속 이행을 거듭 강조했다. 이들 단체들은 성명에서 “소비자 부담과 기술적 결함을 이유로 미국방식 변경 및 디지털 전환 일정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해왔으나 정통부의 탁상행정과 관료주의, 방송위원회의 무소신과 눈치보기로 3년이 넘도록 문제 해결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노무현 당선자는 방송현업인의 의사를 존중하겠다는 약속을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처럼 DTV 전송방식 논란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사회적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2분과와 사회문화여성분과는 지난 8일 DTV 전송방식 관련 비공개 간담회를 갖고 방송사, 정통부, 전문가,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인수위의 정책적인 입장 변화를 기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전망은 불투명한 상태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