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이산가족상봉과 관련 명단이 10일 발표된 가운데 대다수 언론이 지난달말 상봉후보자 명단을 보도하지 않아 대한적십자사(한적) 실무자들이 확인작업에 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적은 지난 23일 상봉 신청자 11만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추첨을 통해 예비후보 300명을 결정했다. 이후 24일 예비후보들에 대한 신체검사를 실시하고 25일까지 200명으로 압축한 뒤 26일 북측과 명단을 교환했다. 한적은 이후 200명의 명단을 홈페이지에 띄우고 각 언론에 보도협조를 요청했으나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의 언론은 이를 보도하지 않았다. 남북이 상봉대상자 명단을 교환한 뒤 대상자를 확인하는 작업에 있어 언론의 보도는 절대적이라는 것이 한적 직원들의 전언이다.
26일 남북간 상봉대상자 명단 각 200명씩이 교환된 뒤 이 명단을 보도한 언론사는 한겨레, KBS, 연합뉴스가 전부였다. 한겨레는 지난 29일 1면 기사로 후보자 명단발표 사실을 알린 후 두 면 하단을 할애해 명단을 실었으며 KBS는 지난 30일과 4일 연달아 특집프로그램을 마련해 명단을 세세히 공개했다. 연합은 한적이 북한으로부터 명단을 넘겨받자마자 이를 속보란에 띄웠다. 이외 다른 언론은 명단을 전혀 게재하지 않았다. 언론의 비협조로 확인작업이 더디게 진행되자 한적은 각 언론사에 재차 공문을 띄우고 통일부 기자실에 자료를 배포해 보도를 촉구했으나 이후에도 추가로 명단을 보도한 언론사는 없었다. 이 때문에 이번 확인작업에는 기존보다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여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일부 통일부 기자들 사이에서도 문제제기가 나오고 있다.
한 언론사 기자는 “대부분의 언론이 ‘기사밸류가 떨어졌다’는 식의 일반적인 접근을 하고 있는데다 북 자금제공설 보도가 집중되면서 이산가족, 경협 등 남북교류협력 기사가 축소보도되고 있다”면서 “명단을 싣지 못하면 한적 홈페이지나 전화번호라도 공고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아쉬워했다.
한적에서 이산가족상봉사업을 주관하는 실무자들 역시 이산가족상봉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언론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 줄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대한적십자사 홍보과 직원은 “확인작업을 실시하다 보면 언론의 보도여부가 상봉자 명단확인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상봉자 중 대부분이 고령자들임을 감안한다면 명단 게재는 선택이 아니라언론의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