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이 춘천MBC 경인일보에 대한 세무조사에 들어가면서 세무조사가 지방언론사들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지방언론사 세무조사와 관련 국세청은 서울지역 신문·방송·통신사를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실시했던 지난 2001년 7월 연내 실시 방침을 밝혔다가 9월 들어 “백지상태에서 재검토한다”고 입장을 수정한 바 있다. 국세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정기 법인세 세무조사”라며 “지난해에도 세무조사를 받은 언론사가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한편 춘천MBC와 경인일보 외에 타 지역 언론사 관계자들은 “아직 세무조사 움직임은 없다”고 전하고 있다.
▲해당사 반응=올 들어 세무조사가 진행된 언론사는 춘천MBC 경인일보 등 2개 언론사로 모두 중부지방국세청 관할이다. 춘천MBC는 지난 1월 13일부터 30일까지 6명의 직원들이 상주해 조사를 마무리했으며 경인일보는 지난 5일부터 20일 일정으로 6명의 국세청 직원들이 상주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경인일보는 지난 94년 정기조사를 받았으며 2000년 2001년 각각 100억, 105억여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춘천MBC의 매출액은 180억, 164억여원이었다.
해당 언론사들도 “정례적인 조사”라는 반응이다. 춘천MBC의 한 관계자는 “지난 97년에 조사를 받았으며 이번 조사 역시 의례적인 조사로 보였다”면서 “세무처리 방식, 사무서식 등 세무지도 차원의 지적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경인일보의 경우 서울지역 언론의 보도가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의 지분 보유 사실에 맞춰진 것에 불만을 표했다. 경인일보는 지난 6일자 ‘본보 명예훼손 좌시 않겠다’ 사설에서 “이번 조사는 5년에 한번씩 이뤄지는 정기적인 세무조사일 뿐”이라며 일부 보도를 거론, “대선에서의 편파보도로 세무조사를 받고 있다는 뉘앙스를 풍기도록 비약해서 보도했다”고 비난했다.
경인일보의 한 관계자는 “지난 99년 현 이길녀 회장의 인수 당시 자료를 비롯해 각종 매출관계 자료를 조사 받고 있다”며 “일부 언론에서 기획조사와 같은 의혹을 풍기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조사확대 여부=중부지방국세청 관할의 2개 언론사가 세무조사를 받으면서 타 지역으로의 확산 여부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로선 지역 별로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전북지역의 한 기자는 “뚜렷한 근거는 없지만 세무조사를 하는 것아니냐는 분위기는 감지되고 있다”며 “경영진들도 긴장하는 눈치”라고 전했다.
지방신문 가운데 부산일보 광주일보는 94년, 국제신문 충청일보는 96년, 매일신문은 97년, 전남일보는 98년에 각각 정기 법인세 조사를 받았었다. 국세청은 지난 98년 12월 사이비언론 정화 명목으로 지방언론사에 대한 일제 조사에 들어간 바 있다. 이와 관련 충청지역의 한 기자는 “지방사들의 재정이 열악하다고 하더라도 언론사의 경영 투명성 제고는 필요한 것 아니겠느냐”며 “정례적인 조사는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