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청와대 취재관행 바뀔까

김상철·전관석  2003.02.19 00:00:00

기사프린트

기자실 개방형 전환, 비서실 출입은 제한

개별취재 증가 전망속 정보차단 우려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지난 16일 청와대기자실 운영을 개방형으로 바꾸겠다고 밝혀 기존 출입기자단 중심의 취재관행에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인수위는 △일정 기준의 요건을 갖춘 모든 언론사에 기자실을 개방해 청와대 등록기자들이 기사를 자유롭게 송고할 수 있도록 기자실 개편 △오전 오후 두차례 정례 브리핑 실시 △두차례 비서실 출입이 가능하도록 돼 있는 기존 방문취재 시스템을 제한해, 사전 약속이 있는 기자에 한해 취재 허용 등의 방침을 밝혔다. 인수위는 아울러 등록제로 변경하는 대신 언론사별로 등록기자 수를 제한하는 한편 상주기자들을 위해 지정좌석제를 실시하고 사물함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인수위는 타 부처 기자실 운영과 관련, 별도 방안을 마련하기 보다 ‘청와대 모델’을 준거 형식으로 내세울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처나 지자체 기자실로 확산 가능성도 높은 셈이다. 기자들은 청와대 기자실 개방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앞으로 개별취재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신문사 청와대 출입기자는 “개방 자체에 대해서는 기자들도 굳이 대응할 명분이 없을 것”이라며 “두차례 브리핑 외에 정례적인 취재기회가 없다는 점에서 개별취재가 강화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최근 홍보수석 인선 등 청와대 홍보진영의 연조와 직급이 대폭 낮아지면서 언론사 간부들 사이에서 취재채널 구축에 난감해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는 점 역시 이같은 분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인수위를 출입하는 한 기자는 “취재약속이 없으면 취재가 어렵다는 우려와 불만도 있지만 기자실 개방은 시대적 흐름이라고 본다”며 “일본의 구락부처럼, 공식적이진 않더라도 몇몇 기자들이 필요에 따라 취재를 같이하는 양상이 나올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고 전했다.

오전 오후 각 1시간씩 허용되던 비서실 취재를 사전 약속이 있는 기자에 한해 허용하기로 한 데 대해서는 “비서실의 업무효율을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과 “사실상의 취재 제한”이라는 우려가 맞서고 있다.

한 신문사 정치부 차장은 “사전 연락을 통해 실무진을 접촉할 수밖에 없다면, 청와대 문호를 개방한다면서 오히려 정보에 대한 접근권은 축소한 것”이라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또다른 정당 출입기자는“개별취재의 경우 청와대측이 선호하는 언론사와 그렇지 않은 언론사 간 정보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지난 18일자 동아일보 사설은 사전 연락을 통한 취재에 대해 “잘못 운영될 경우 청와대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기사만 전하라는 무언의 보도지침으로 변질될 우려가 없지 않다”고 비판했다. 한겨레는 사설에서 기자실 개방의 성공 요건으로 “브리핑 내용이 충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변인에게만 의존할 게 아니라 실무담당 책임자들도 직접 나와 알찬 브리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