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협회·언론재단이 공동 주최하는 22회 기자포럼이 ‘기자실 운영 문제점과 개선 방안’이라는 주제로 지난 13일 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서 토론자들은 기자실의 존폐 여부, 개방 범위, 명칭, 개선 방향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내놓았다.
김기태 광주타임스 부장은 “모든 기자들을 대상으로 기자실을 개방하면 사이비 기자들로 인한 폐해가 생길 수 있다”며 “기자실을 개방하되 제한적이고 신중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연 대구방송 보도국 기자는 “기자실의 역기능만 부각해 기자실을 없애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열린 기자실 형태로 계속 운영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기자실 개방 범위에 대해서는 “누구든지 이용할 수 있는 개방된 공간으로 활용하자는 데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이미 대구지역 대부분 출입처에서 출입기자단은 유명무실해졌다”고 말했다.
반면 성회용 SBS 문화부 차장은 기자실 개혁을 위해 정부와 기자들이 함께 나설 것을 제안했다. 성 차장은 “기자실이 개방돼야 하는 것은 대세”라고 전제하면서 “정부는 기자실 문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공보관의 수준을 높여 현안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자들의 일탈행위는 사법적으로 엄정하게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진희 원주참여자치 시민센터 대표는 “기자실 내 기자 책상이 원탁으로 바뀌거나 기자실 명칭이 브리핑룸으로 전환되고 기자단이 운영비를 일부 부담하는 등 미세한 변화는 있었지만 기자실의 근본적 문제는 10년 전과 전혀 달라진 게 없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그 이유는 해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언론사 기자 공직단체의 의지가 없어서”라며 “여전히 출입기자단은 기자협회 소속의 기자들로 구성되고 배타적이다. 기자협회가 문호 개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영방 목포시청 공보실장은 “목포시청의 경우 지난해 직협의 기자실 폐쇄 요구로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전환해 시민 모두가 이용하고 있다”며 “기자실이 열린 공간으로 활용되고 사회단체 직협과 유기적 관계로 발전해간다면 지역 발전에도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선재 MBC 미디어비평팀 차장은 “기자실 위주의 취재 관행이 바뀌지 않는 한 기자실 체제는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며 “기자실을 없애야 출입처 위주의 취재 관행이 사라지고 현장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정천 대한민국공무원노조총연맹 위원장은 “기자실을 없애기보다는 열린 공간으로 둬야 한다”며 “기자사회의 금품 수수나 향응 제공 등 구습들은 많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이 위원장은 “중앙기자 대신 서울지역 기자로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행정정부가 대전으로 이전하면 대전지역 기자를 중앙기자로 부를 것인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정운현 오마이뉴스 편집국장은 “기자실이 특권성, 배타성, 취재원과의 유착 등 부정적 문제를 갖고 있지만 긍정적 측면도 있다”며 “기사를 송고할 수 있는 공간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국장은 “기자실 문제의 핵심은 기회 균등”이라며 “기자실을 대폭 개방해 시민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장호순 순천향대 교수는 “특정 언론이 기자실을 배타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군소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으로 비민주적일 뿐만 아니라 법적으로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대안으로 “기자실을 이원화해 유료기자실은 각 사가 이용 비용을 내는 사적공간으로, 공개기자실은 국가가 비용을 부담하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영역으로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