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공동배달제가 오는 3월 시범실시를 앞두고 있다. 애초 시범실시 시기로 잡았던 지난해 12월 보다 2개월여가 지체됐다. 신문공동배달제추진위(추진위)가 발족한 것은 지난해 6월, 발족 이후 어느새 8개월이 지났다. 추진위에는 현재 경향신문 국민일보 문화일보 세계일보 한겨레 등 5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공배제가 이처럼 더딘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최대한 정밀한 사전조사와 검토를 통해 시행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공배제가 이론상에서만이 아닌 현장에서도 실현성과 수익성 있는 방안임을 실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공배제 지원을 약속하고 문화관광부도 올들어 문화산업진흥기금 저리 융자 방침을 밝힌 상황에서 이같은 ‘실증’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졌다.
실제로 지난해 7월 추진위가 과천을 시범실시 지역으로 선정하고 공배지국 지사장을 임명하는 등의 과정에서도 적잖은 시행착오가 있어왔다.
논의 초기에는 무엇보다 독자 자료, 배달원 수, 지국 수익구조 등 참여사들의 판매관련 자료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진전을 더디게 했다. 제출한 자료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배달인력, 배달동선, 비용 등 이를 토대로 한 공배제 모델을 재설계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판매시장의 해묵은 과제인 투명성 제고 필요성을 공배제 추진과정에서 실감한 셈이다.
시범실시의 경우 배달을 담당할 인력 문제를 놓고서 한차례 ‘시험’을 치렀다. 추진위는 참여사 각 지국에 일정 수준의 배달원이 소속돼 있다고 보고 별도의 배달인력 확보를 추진했다. 그러나 실제 조사에서 배달원들도 몇몇 거대신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 일단 기존 배달원과 계약하는 것으로 선회했다. 공배지국의 별도 배달원 구성은 향후 과제로 넘긴 것이다.
공배지국 운영 역시 쉬운 문제가 아니었다. 참여지국 부수를 취합한 결과 배달비만으로 공배지국의 수익구조 안정이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자, 공배지사장 선정도 재론이 불가피했다. 지사장을 포함한 공배지국의 인건비 부담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추진위는 기존 지국장이 공배지국을 맡을 경우 별도의 월급을 지출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감안, 이달 들어 과천의 경향신문 한겨레 겸업 지국장을 공배지사장으로 선임했다. 추진위는 지난해 11월 공배지사장을 외부에서 영입했었다.
추진위는 현재 새공배지사장을 중심으로 판매동선 설계, 적정 배달료 산정 등 막바지 실무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3월 3일부터 시범실시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3~5월 과천 시범실시를 통한 공배제 점검·해외사례 검토 △6월까지 주식회사, 공사 등 공배회사 형식 확정 △올해 말, 내년 초 공배제 전면 실시 일정을 상정했다. 강성남 공배제추진위원장은 “공배제는 ‘국가여론형성의 기간망’인 신문배달망을 효율적으로 개선한다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당면 목표는 최대한 정교한 설계를 통해 공배제의 흑자모델을 남기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