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새 내각 언론개혁 기대된다

이창동·김두관·지은희·강금실·조영동씨 등 언론운동 참여인사 대거 포진

서정은 기자  2003.03.05 14:24:41

기사프린트

기존 언론의 잘못된 행태를 비판하거나 언론개혁운동에 실질적으로 참여해 온 인사들이 새 정부 내각에 대거 포진했다. 새 정부와 언론과의 관계, 언론정책의 내용과 방향 등에 이들의 ‘개혁’ 성향이 얼마나 반영될지, 실질적인 변화와 개혁을 이끌어낼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6면

이번 내각에서 언론 문제와 관련 비판적·개혁적 행보를 보여온 인물은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 지은희 여성부 장관, 강금실 법무부 장관, 조영동 국정홍보처장 내정자 등이다. 이들은 기자실·계도지 폐지(김두관), ‘안티조선’ 운동(이창동),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지은희), 신문시장 정상화(강금실), 편집권 독립 투쟁(조영동) 등 언론 문제와 관련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따라서 가판구독 중지, 청와대 기자실 개방 등 정부와 언론의 새로운 관계 정립을 시도하고 있는 노무현 정부에서 이들 장관의 ‘개혁’ 성향은 언론정책, 언론관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언론 주무부처인 문화관광부, 국민과 언론을 상대로 국정 홍보를 담당할 국정홍보처, 지방자치단체의 기자실·계도지 관련 소관부처인 행자부 등은 새 정부 언론정책을 담당하고 실행할 부처라는 점에서 언론계 안팎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안티조선’ 인사로 잘 알려진 이창동 문화부 장관은 지난 2001년 ‘조선일보 반대 영화인선언’에 참여, △조선일보 구독·기고·인터뷰 거부 △언론개혁 감시 △정간법 개정 △신문고시 적극 시행 등을 지지한 바 있다. 따라서 이 장관이 언론 주무부처의 장으로서 향후 언론개혁의 최대 이슈인 정간법 등의 문제를 어떻게 조율해 나갈지 주목된다.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은 지난 95년 남해군수 시절 지방언론의 폐해를 지적하며 기자실 폐쇄, 계도지 폐지, 촌지 중단 등 일련의 개혁 조치를 단행, ‘언론과의 전쟁’을 치른 전력이 있다. “언론과 자치단체간의 밀월관계가 청산되고 상호 비판적인 긴장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게 이유였다. 이러한 김 장관의 언론관은 앞으로 기자실 폐지와 계도지 근절 등 지자체와 지방언론의 관계에 커다란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조영동 국정홍보처장 내정자는 지난 88년 부산일보 초대 노조위원장 시절, 편집국장 추천제를 요구하며 첫 언론사 파업을 주도해 편집권 독립 문제를 사회적 쟁점으로 이끌어낸 인물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있다.

지은희 여성부 장관은 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로 활동하며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우리방송지키기 시민공대위’ 공동대표, 국민주방송 준비위원 등 언론운동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따라서 여성부가 언론정책과 직접 연관된 부처는 아니라 해도 미디어에서의 여성문제와 여성정책에 대해 보다 분명하고 적극적인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인다.

민변 부회장 출신의 강금실 법무부 장관의 경우도 민변이 언론개혁 이슈에 대해 적극적으로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단체라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진다. 강 장관은 최근까지 신문공정경쟁위원회 판매분과 위원을 맡아 자전거 경품 등 규약 위반 사례를 심의하는 등 신문시장 정상화를 위한 실무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