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동아 공정보도위원회가 소식지 ‘공보위 광장’을 통해 대선보도의 편파성을 지적한 데 이어 이번에는 노조에서 인적쇄신, 의사결정구조, 논조, 편향성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동아 노조는 지난달 28일 발행한 노보 ‘동고동락’에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다”는 제목의 노설(勞說)을 실어 “노조는 회사의 지향점인 ‘합리적 보수’, ‘열린 보수’를 지지하지만 신문 제작방향에 대해 ‘합리적 보수의 선’을 넘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음을 주목한다”면서 “경직성과 폐쇄성을 과감히 벗어던지고 개방적 자세와 합리적 사고의 열린 신문으로 변신하기 위한 인적개편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또 “엄밀한 자기검증과 전향적 자세를 갖춰야만 ‘신뢰받는 신문’의 필요조건인 공정성이 담보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노보는 특대호(8쪽)로 제작됐다. 그동안 2쪽 내지는 4쪽으로 제작해온 것에 비할 때 이례적이다.
노조는 이번 노보에 논조, 편집, 편향성, 북한, 인터넷 등 그동안 동아 보도에 대해 언론계 안팎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던 주제에 대한 조합원들의 원고를 6편이나 실었다. 주변의 ‘따가운 시선’에 대한 고민이 적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또한 필자를 전원 무기명으로 처리한 것은 노조가 지적했던 ‘건전한 토론과 비판이 자취를 감춘’ 동아 내부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전략적 편집 방침’이라는 주제로 기고한 조합원은 “특정정파 정치인의 주장을 따옴표로 따서 특정위치에 올렸을 때 이 행태는 동아의 단순중계인가 판단력 구사인가”라고 반문하며 “이제 동아 기자의 내공이 축적된 것이 바로 1면 톱으로 등극해야 한다”면서 편집의 일대혁신을 주문했다.
한 조합원은 동아의 편향성을 지적했다. 이 조합원은 “동아에서는 노동자 농민 장애인 외국인노동자 등 사회의 응달에 위치한 사람들 관련 기사나 사진은 아침부터 신문을 읽는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준다는 이상한 논리로 찾아보기가 힘들어졌다”, “노조의 불법파업에 대한 매서운 비판의 목소리는 찾을 수 있지만 반대로 사업주의 불법에 대해서는 말을 아낀다”등의 사례를 비판하며 “국회다수당인 거대야당의 잘못도 때로는 통렬히 비판하자”, “햇볕정책이 총체적으로 실패한 대북정책이라는 일반적 주장은 거둬들이자”고 제안했다. “지금이라도 대선보도에 대한평가를 진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 조합원은 “이번 선거처럼 우리의 논조가 사람들에게 극단적인 반응을 얻었던 것은 처음”이라면서 “이제 진지하게 ‘우리 신문이 지난 대선을 올바로 치렀는가’를 토론하고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아의 인터넷 관련 기사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제기됐다. 한 조합원은 앙마의 촛불시위 자작극 논란 이후 인터넷의 역기능을 집중조명했던 동아에 대해 “인터넷을 무조건 적으로 돌려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며 “젊은 세대의 기본적 생활도구로 미래의 독자를 위해 새로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는 7일로 예정된 주총을 일주일 남짓 남긴 시기에 발행된 이번 노보를 통해 노조는 인사개편을 강력히 주문한데다 내부 문제점에 대한 사원들의 자성과 성찰의 목소리가 터져나와 주총 이후 단행될 인사가 노조와 조합원들의 ‘분위기 쇄신’ 요구에 얼마나 부응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