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조간신문 가판 구독 중단, 노무현 대통령의 ‘소주파티 금지령’ 등 새 정부의 언론관계에 대해 현직 정치부장이 답을 보냈다. “언론도 정확한 기사를 쓰도록 만전의 노력을 해야 하지만 노무현 대통령도 주변부터 언론사에 전화를 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재민 한국일보 정치부장은 지난 4일자 데스크 칼럼 ‘편집국에서’를 통해 “현장에 있으면서 기사를 놓고 정치권력과 씨름하는 일은 어느덧 일상사가 돼왔다”며 “특히 청와대와 국가정보원의 로비는 치열했고 또 거부하기도 힘들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그런데 노무현 대통령이 공무원으로 하여금 조간신문 가판 구독을 금지시키고 언론에 대한 뒷거래를 일절 못하게 한다고 했다. 정말 두 손을 들어 반길 일”이라고 환영했다.
신 부장은 그러나 최근 벌어진 노 대통령 측근들의 ‘원칙’에 어긋난 행동을 소개하면서 노 대통령 주변부터 철저히 변해야 함을 강조했다. “‘권력과 언론은 친구가 될 수 없다’는 노 대통령의 말은 맞지만 권력이나 언론이 그것을 실천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는 것이다. “노 대통령이 당선자 신분이었을 때 지금 총리가 된 분도 전화를 걸어와 가판에 난 기사의 제목을 바꿔달라고 했었고, 비서실장을 했던 분은 ‘기사가 틀렸다’며 거짓말을 해 결국 가판에 난 기사를 빼도록 한 일이 있었다”고 ‘비화’를 소개했다.
언론사에 출입하는 경찰서 정보과, 국정원, 기무사 등 정보기관원 철수도 주장했다. 신 부장은 “바로 어제 저녁에도 ‘한국일보 담당’이 버젓이 전화를 걸어 이것저것 캐물었다”며 “권력기관이 언론사의 뒷조사를 하고 다니는 판에 ‘정권과 언론의 정상적 관계’를 말하는 것은 허구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신 부장은 “노 대통령이 밝힌 대로 언론과의 뒷거래를 ‘제대로’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글을 썼다”며 “특히 경찰, 국정원 등에서 언론사에 기관원을 출입시키는 한 언론과 권력의 공정한 관계는 이루어지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신 부장은 ‘가판이 나간 뒤’(2001년 8월 23일자), ‘관선기자들’(2001년 10월 25일자)이란 칼럼에서 “정부 관계자들이 가판 발행 직후 ‘봐달라’는 식의 ‘특별한 혜택’을 기대해서는 안된다”“민주적인 정치를 하겠다면 관선기자(정보기관원)부터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