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인사와 관련 언론의 보도태도가 ‘우려와 지적’ 수준을 넘어 이념이나 편향을 부각, 흠집내기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지적이 높다. 개혁의 필요성이나 방향성에 대한 점검보다는 ‘개혁 시도’에 따른 불안감을 우선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7일자 조각과 관련 언론은 파격인사의 면면과 함께 일제히 ‘실험’에 대한 위험성을 덧붙였다. ‘상하좌우가 뒤바뀌는 역전의 폭이 너무 커서 공직 사회에 지나친 충격을 주고, 내부적으로 소외감과 반감을 불러일으키는 수준으로까지 간다면 애초 의도했던 것과는 다른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조선 2/28 사설)거나 ‘지나치게 개혁과 참신성을 강조할 경우 공직사회는 또다른 복지부동으로 흐를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세계)는 것이다.
이같은 입장은 특히 조각 발표에 앞서 부처 분위기를 전하는 기사에서 한층 부각됐다. ‘“후배가…40대가…장관에” 술렁/외교부선 윤 내정자 대학선배만 40여명’/‘농림부 농민운동가 출신 유력에 당혹’(한국 2/26) ‘‘김진표 경제팀’ 물갈이 태풍 예고/행시 13회…선배 차관급 퇴진 불가피/“옷벗을 사람 수두룩” 공무원들 불만’(동아 2/25) 등의 기사는 부처동향을 통해 인사에 따른 ‘불안감’을 조명하는 데 주력했다. ‘‘강금실 법무’ 등장설에 술렁대는 검사들/“검찰 망신주기 의도 아니냐” “총장임기는 지켜야” 강력 반발’(조선 2/22) 기사도 같은 맥락이었다.
이 과정에서 ‘시민단체 ‘입김’ 조각작업 난산’(세계 2/27) ‘조각작업 곳곳서 막판 뒤집기/시민단체 “복지 김화중 개혁성 떨어진다”/문화부 경우 노사모 나서 이창동씨 밀어’(조선 2/27) 등 시민단체 지적을 ‘인선 흔들기’로 접근하는 기사도 양산됐다.
반면 몇몇 보도는 운동권 출신이 포진하고 있는 ‘단색’의 청와대 비서진 면면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안정내각을 꾸리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등 시작도 하지 않은 개혁 조치에 앞서 ‘안정’을 강조하는 기존 태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실제로 지난 17일 청와대 비서진 인선이 완료되자 언론은 일제히 운동권 투옥 경력자가 10명이며 관료출신이 전무하다는데 주목했다. 동아일보는 지난달 19일자에 ‘관료출신 없는 청와대 부처 공무원들 비상/“386 핵심참모 앞세운 무혈쿠데타”’ 기사를 통해 공무원들의 반발을 주요하게 보도했다.
사설을 통해서도 ‘관료출신 전무=전문성 부재’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청와대 진용이 강한 이념적 정향성을 띠고 있고 여당 내부에서조차 개혁독재 얘기가 나오고 있다는 점을 들어 “국민들의 불안과 걱정이 크다”고 전했다. 세계일보는 “상당수 비서진들이 1980년대 학생운동권 출신들이어서 국가이념과 정책에서의 이념적 편향성이 우려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