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취재에 대한 기자들의 불만이 적지 않다. 브리핑만으로는 ‘정보 갈증’이 채워지지 않는데 취재문턱은 높아졌다는 것이다. 변화의 과정이니 만큼 불편은 감수해야 한다는 청와대측 입장과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개선해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맞서고 있다.
청와대는 매일 두차례 대변인 브리핑을 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대통령이 직접 나서거나 해당 수석, 보좌관들이 추가 설명하는 형식으로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이와 관련 대변인 브리핑의 미숙함이나, 청와대 본관과 비서동의 출입을 금지하고 사전 면담신청을 통해 취재하는 방식이 논란이 되고 있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는 “일단 사람을 제대로 만날 수가 없다. 브리핑만 받아 적으라는 얘기냐”고 반문하며 “대변인 브리핑의 경우도 자질 문제를 떠나 오전 오후 회의가 길어지면서 내용을 제대로 챙기고 나오기 힘든, 운영상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지난 2일자 사설에서 “새 청와대 대변인의 아마추어적인 행태는 이런 분위기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청와대측은 변화 과정에서 오는 불가피한 불편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 4일자 청와대 브리핑은 ‘비서실 방문취재 집착은 곤란’ 기사에서 ‘언론장악’ ‘알권리 봉쇄’라는 비판에 대해 “기자실 개방, 공개 브리핑제 도입 등 취재시스템 개선은 고려하지 않은 채 부정적인 측면만 부각시키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기자실 개방에 따라 취재진이 대폭 늘어나는데 무제한으로 비서실 방문취재를 한다면 업무 지장을 주고 청와대 특성상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기존 브리핑제를 유지하되 홍보수석실 기능 강화 등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한겨레는 지난 3일자 사설에서 “기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모든 현안에 대한 정보가 홍보수석실에 모여져 걸러지지 않으면 공개브리핑 제도는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고 언급했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도 “중대한 현안이 발생했을 때 지금 같은 식이라면 심각한 문제가 빚어질 수도 있다”면서 “미국 형식을 들여왔다고 내용이 같아지는 건 아니기 때문에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변화는불편하기 마련”이라면서도 “일일 브리핑을 통해 가능한 많은 정보를 담으려고 한다. 알권리 충족 차원에서 홍보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