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고위직 인사들이 언론사에 청탁성 전화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거래’보다는 ‘원칙’을 앞세운 새 정부의 언론관계와 배치되는 모습이다.
고건 국무총리는 지난달 20일 총리 인준청문회를 앞두고 대다수 언론사에 “잘 부탁한다”는 청탁성 전화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
A신문사 편집국장은 “청문회에서 인준을 받을 수 있도록 잘 봐달라는 요지의 전화를 받았다”며 “압력이라기보다는 개인적으로 부탁하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B신문사 편집국장은 “가판 보도 후에 사실 관계가 다르다는 해명성 전화를 받았다”며 “단순 사실관계가 아니라 해석차이가 있는 것이어서 고치지는 않았지만 전화를 받으면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C신문사 정치부장은 “청문회 전에 ‘잘 부탁합니다’라는 전화가 왔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덕봉 총리실 공보수석은 “일부 신문에 난 오보, 과장보도에 대해 사실관계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전화한 것”이라며 “총리 본인이 가장 정확히 알고 있기 때문에 직접 했다. 청탁 전화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형 건평씨는 시사저널에 전화를 해 “인터뷰 내용 중 국세청장 관련 대목을 기사에서 빼달라”고 부탁한 것으로 확인됐다. 시사저널 관계자는 “건평씨 인터뷰를 마치고 서울로 돌아온 이튿날(2월 22일) 노씨가 모 기관장의 수행비서를 보내 국세청장 관련 발언 대목을 기사에서 빼달라고 부탁했으며, 23일에는 노씨가 직접 전화를 해 ‘발언 내용이 나가면 국세청장 후보로 거론된 ㄱ씨에게 누가 될 것 같다’면서 관련대목 삭제를 부탁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문재인 민정수석도 시사저널에 전화를 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시사저널측은 “청탁 전화는 아니었다”고 밝혔다. 서명숙 편집장은 “문 수석이 건평씨 집을 방문해 자초지종을 조사한 이후 기자들에게 ‘해프닝’이라고 말한 배경을 설명하는 전화였다”며 “기사 삭제와 관련된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