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국정원의 언론 정보수집과 관련 실태를 파악한 뒤 국정원 개혁 때 최종적으로 결론을 내리겠다고 밝혀 주목된다.
청와대의 이같은 방침은 이해성 홍보수석이 지난 5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국정원의 언론사 출입과 주요 간부에 대한 신상 탐문 등 언론사 정보수집이 일상화되고 있다”며 “시대변화에 부합하는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이뤄졌다. 이날 노무현 대통령은 홍보수석실의 제언에 대해 “국가와 사회의 안전 유지를 위해 필요한 정보 수집은 필수적이지만 국정원의 부처 출입제는 과연 무엇이 필요하고 어떻게 활동해 왔는지 실태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며 “국정원 업무실태를 파악한 뒤 앞으로 국정원을 개혁할 때 최종 결론을 내리겠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국정원 검찰 경찰 국세청 등 4대 권력기관을 ‘국민의 기관’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이들 기관의 기능과 조직 운영체계 등을 전면 쇄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정부와 언론의 관계도 새롭게 정립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고 있어 그동안 사라져야 할 관행으로 비판을 받아왔던 정보기관의 언론사 출입과 정보수집 활동 역시 시대 변화에 맞춰 개혁될 것이란 전망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국정원 등 정보기관들은 신문 방송 등 각 언론사를 비롯해 정부 부처, 주요 공기업, 대기업 등에 전담 출입 직원을 1∼2명씩 배치하고 일상적인 정보수집 활동을 벌이고 있다. 언론사의 내부 정보와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주된 활동이지만 최근 MBC가 국정원의 문제점을 다룬 프로그램을 내보낸 것과 관련 국정원의 MBC 출입 요원이 해당 PD를 폭행하는 등 갖가지 폐단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언론사 노조와 언론단체들은 “언론을 감시하고 통제하려는 발상으로 언론자유를 훼손하고 있다”며 정보기관의 언론사 출입제도 폐지를 요구해왔다.
이와 관련 국정원측은 “정부 기관으로서 대통령의 방침에 어떤 입장을 밝힐 상황은 아니다”며 정부의 국정원 개혁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정원 언론팀 한 직원은 “국가 보안을 위한 정보수집 활동에 언론 분야도 예외일 수 없다”며 “언론분야의 정보수집 활동은 필요하고 또 계속하겠지만 언론사 내부 문제와 주요 간부의 신상 탐문 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달라질 수 밖에 없을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