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사외이사로 선임되면서 뜨거운 논쟁을 불러왔던 김동민 한일장신대 신방과 교수의 언론개혁 주장을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그동안 김 교수가 주장해왔던 언론개혁에서의 소유구조 제한 문제, 언론학자의 처신 문제 등이다.
김 교수가 SBS 사외이사 임기를 시작하면서 “소유구조 문제가 본질이 아니다”라고 언급한 대목과 관련 “자신의 주장을 한 순간에 뒤짚었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김 교수는 그동안 “재벌이나 족벌의 신문사 소유를 보다 엄격히 제한할 필요가 있다”며 정간법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기 때문이다. 물론 “정간법이 개정된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그다지 없다. 우선 순위로 추진해야 하는 것은 정간법 개정이 아니라 반개혁적인 수구신문과의 전투가 돼야 한다”는 전제도 뒤따르긴 했지만 언론개혁운동의 주요 과제로 소유지분 제한, 정간법 개정을 지목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소유구조의 문제가 본질이 아니라고 말한 것은 내가 예전에는 소유구조의 중요성을 말하다가 이제와서 그렇지 않다고 말을 바꾼 것이 아니다. 제도적 개혁이 운동의 중요한 목표라는 것은 지금도 인정하지만 현실적 한계를 지적한 것일 뿐”이라며 “법 개정의 어려움, 법이 개정된다고 해도 실효성이 있는가 하는 문제는 2∼3년 전부터 꾸준히 제기해 온 주장”이라고 해명했다.
언론학자의 처신과 관련 김 교수는 지난 2001년 <우리는 왜 조선일보를 반대하는가>라는 책에서 “개혁의지는 찾아볼 수 없고 개혁의 대상에 출연하고 기고를 하며 매명을 일삼는 사람들, 재력있는 언론단체와 방송사 등을 기웃거리며 연구비를 챙기는 사람들, 방송위원이나 방송사 이사 등을 꿈꾸며 백방으로 줄을 서는 사람들”이라며 “제사보다 젯밥에 눈독을 들이는 언론학자들이 수두룩하다”고 질타한 바 있다. 이어 “정부가 언론개혁을 위해 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과제는 사영재단을 제외한 기관에 개혁적이고 젊은 언론학자들을 수혈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언론학자의 처신을 질타했던 학자가 주위의 우려와 만류를 뒤로 하고 ‘개혁의 대상’인 SBS의사외이사로 간 것에 대해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스캔들이라는 편의적 발상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 김 교수는 지난 99년 당시 언론개혁시민연대 김주언 사무총장이 SBS 시청자위원으로 참여할 때 “상업방송을 대변하려는 것이냐”며 강도높게 비판했다는 점에서도 논란을 빚고 있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당시 원칙적으로는 언개연 사무총장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라고 생각했다. 실질적으로 달라붙을 수 있는 사람을 조직적으로 논의해서 파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물론 조직적 논의없이 SBS 사외이사를 결정한 부분에서는 나도 잘못이 있었고 비판을 받았다. 당시 김주언 사무총장 건은 너무 과민했다. 개인적으로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무런 역할도 할 수 없으면서 떡고물을 바라고 개인적 지위와 목적을 위해 움직이는 언론학자들을 지적한 것”이라며 “나를 똑같은 범주로 보고 젯밥에 눈이 먼 것으로 몰아가는 것은 잘못이다. 나는 분명한 역할이 있다고 판단했고 SBS의 의지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예전에 내가 언론개혁 문제와 관련 단정적으로 표현한 부분이 있었다면 잘못을 인정하겠다. 그러나 부분적인 표현보다는 상황의 변화를 읽어달라. 실제 운동 과정에서 경험하고 검증되고 생각이 심화되는 과정으로 봐야 한다”며 “입장을 바꾸거나 편의적으로 말을 바꾼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