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이 밝힌, ‘홍보업무 운영방안’은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지나치다. 원칙은 옳으나 너무 나갔다. 기자실을 없애고 등록제로 전환한 것은 큰 방향으로 볼 때도 옳다. 제일 처음 청와대가 기자실 개혁 방침을 내비쳤을 때부터 우리는 취재 시스템 변화에 지지를 보냈다. 대변인의 브리핑이 좀 더 충실해져야 한다는 따위의 보완론이 나오고 있으나 작은 흠결들이 큰 틀의 정당성을 해치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 장관의 다른 방침은 좀 더 생각해봐야 한다. 우선 취재를 너무 제한했다. 열린 국정을 지향한다면서도 이 장관은 기자들의 취재를 매우 어렵게 만들어버렸다. 민원인은 쉽게 만날 수 있는 공무원을 기자는 만날 수가 없게 됐다. 공무원 역시 언제 어디서든 기자들을 만날 자유가 있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 둘 다가 막혀 버렸다.
이 장관은 기자들이 마치 제왕처럼 각 부처 실무자들의 방을 들락거리며 취재하던 관행에 거부감을 느꼈는지도 모르겠다. 이런 관행에는 분명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빈대 잡자고 초가삼간을 태울 수는 없는 일이다. 게다가 관료 사회를 포함한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업그레이드 속에 이런 관행도 이미 상당부분 고쳐지고 있다.
담당 공무원들이 기자들을 만난 뒤 취재 내용을 보고하라고 하는 대목에서는 전체주의적인 냄새까지 난다. 물론 언론의 ‘작문'을 막고 모든 것을 투명하게 하자는 취지이겠으나 그렇다고 이런 전제적인 방법까지 써야 하겠는가? 이 장관은 뒤늦게 “자기가 말한 것이 다르게 보도될 수 있다고 느끼면 미리 공보관에게 통보하라는 뜻"이라고 해명했지만, 취재 내용을 보고하라는 말을 그 뜻으로 받아들일 사람은 거의 없다.
물꼬가 막히면 물 흐름이 원활치 못하고 결국은 물이 썩는다. 언로도 마찬가지다. 기자가 취재원을 활발하게 만나지 못하면 언로는 막힌다. 다른 어떤 복잡한 설명보다도 이 원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열린 사회일수록 취재를 제한해서는 안된다.
논란이 확대되자 노무현 대통령은 공무원들에게 일일이 지침을 내리기 보다는 기자실 폐지와 같은 큰 원칙만 정하자고 이 장관의 말을 다소 다듬었다. 하지만 이 장관은 여전히 “진의가 잘못 전달됐다"며 ‘홍보업무 운영방안'을 수정할 뜻이 없다고 밝히고 있다.
이 장관은 언론을 ‘다루는' 주무장관으로서 태도를 분명히 해야 한다. 안팎의 비판에 귀를기울인 뒤 자신의 방침 중 일부가 잘못됐다고 판단되면 당장이라도 고쳐라. 그렇지 않고 자신의 뜻이 잘못 전달됐다면 제대로 전달되게 다시 하라. 장관 한 사람이 말을 잘못 했든지, 아니면 수십명의 기자가 하나 같이 잘못 알아들었든지 둘 중에 하나일 텐데, 언로를 뚫자는 장관이 자신의 뜻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서야 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