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의 군수 재임 시절 남해신문 대표이사 겸직 문제 등(본보 1180호 참조)을 놓고 대립했던 동아일보와 김 장관 및 남해신문이 또다시 부딪혔다. 동아일보가 지난 12일자 사회면 머릿기사에서 “남해신문이 군정홍보료 1000만원을 받았다”는 것과 “김 장관이 군수로 취임한 이후 남해신문에 남해군 광고가 대폭 늘어났다”는 등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하면서다.
동아일보는 94, 95, 96년 남해신문의 군청 광고수를 제시하면서 “95년 김 군수 취임 이후 남해신문의 군청광고가 대폭 늘어났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타 매체와의 비교없이 남해신문만을 시간순으로 비교할 경우 광고 집행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
최병현 남해군청 공보계장은 “관선군수에서 민선군수로 바뀌면서 군내 행사가 늘어나 남해신문 뿐만 아니라 다른 신문에도 광고를 많이 게재했다”며 “당시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본보가 96년 1월 10일자로 창간된 남해환경과 남해신문의 96∼98년치 군청 광고수를 비교한 결과 김 군수 재임시절 남해신문이 군청에서 광고특혜를 받았다는 근거는 찾기 힘들었다. 실제 96년에 두 신문에 난 군청 광고수는 남해신문 15건, 남해환경 10건으로 조사됐다. 단 신생지인 남해환경은 1만7000부를 찍는 남해신문에 비해 규모가 작고 광고효과도 적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지면수에 있어서도 남해환경은 남해신문보다 8면이 적은 16면을 발행하다가 96년 8월 7일자부터 24면으로 증면했다.
또한 97년 남해군의 ‘지출원인행위 및 지출부’에 따르면 남해신문, 남해환경에는 각 4건의 군 광고가 실렸다. 또 98년에는 남해신문 9건, 남해환경 8건의 군 광고가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95년엔 남해신문이 군내 유일 지역신문이어서 경쟁지와의 광고량을 비교할 수 없고, 군청이 자료 보존기한 경과에 따라 매체별 광고집행 내역을 폐기해 당시 상황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지역신문인 남해환경이 창간된 96년 이후 두 신문의 군청광고수를 비교하면 김 군수 재임시절 특정 신문에 대한 광고특혜 여부를 추론할 수 있다.
동아일보는 또 “김두관 행정자치부 장관이 사장으로 있었던 94년 남해신문이 남해군으로부터 군정홍보료 명목으로 1000만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며“군정홍보료는 일부 지방신문이 해당 시군이나 기관장의 기사를 써주는 대가로 받는 돈”이라고 보도했다.
실제 남해군의 94년도 예산서에는 ‘지역신문 군정홍보료’라는 항목에 1000만원이 책정돼 있고, 남해신문은 군정소식을 싣는 대가로 1000만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원칙적으로 군의 홍보성 기사를 싣고 대가를 받은 것은 비판을 피하기 힘들다. 다만 남해신문의 군정홍보료는 촌지와는 성격이 달랐다는 게 남해군의 설명이다.
최병현 공보계장은 “당시 군에서 군민들이 많이 보는 신문에 군정소식을 알리자는 취지로 남해신문에 먼저 제안을 했었다”며 “예산서에는 군정홍보료로 기재됐지만 당시 지방지 기자들에게 주는 촌지와는 다른 광고료 성격의 돈”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황진영 동아일보 기자는 “군정홍보료를 받고 광고인지 기사인지 알 수 없도록 군정소식을 내보낸 것은 대가성 촌지를 받은 것과 다르지 않다”고 밝혔다. 또 “94년에 비해 95년에 군청 광고가 늘어난 것은 군에서 남해신문을 밀어준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