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신문가판 관련기사를 보도하면서 가판 발행의 일면만을 부각시켰다는 비판을 사고 있다. 기사에 대한 로비나 압력 등 그동안 폐지 근거로 제기됐던 문제들은 외면하고 ‘독자 서비스 차원’ ‘활력 있는 가판시장’ 등의 면모만을 부각시켰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지난 14일자 미디어면 ‘청와대가 구독 금지한 ‘가판신문’이란/조간의 초판…고품질 뉴스로 업데이트 위한 ‘틀’’ 기사에서 “신문사가 가판을 포함, 밤새 판갈이를 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가능한 한 독자에게 고품질의 신문을 제공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또 가판발행이 기본적으로 시장원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거론하며 청와대, 국정홍보처가 일반 기업을 대상으로 가판 폐지에 대한 여론조사를 벌인 사실을 들어 가판구독 중단의 강제성을 부각시켰다.
같은날 동아일보는 주말섹션 ‘광화문 가판야시/매일 오후 6시~7시 동아미디어센터 앞…내일자 조간신문 총집결 “한국서 가장 역동적인 언론시장”’ 기사를 실었다. 기사는 ‘동아미디어센터의 야시는 한국에서 가장 역동적인 언론시장’이라고 전하며 홍보관계자들의 활동을 아울러 다뤘으나 이들이 기사를 ‘체크하고 보고하는’ 모습만을 보도했다.
그러나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가판발행의 폐해로 지적돼왔던 문제들을 거론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이종혁 미 아이오와대학 객원연구원은 지난해 12월 한국언론학보에 쓴 가판 관련 논문에서 홍보실무자들의 면접조사를 통해 정리한 가판보도 대응 형태를 △기사 들어내기 △내용 삭제하기 △내용 수정하기 △제목 수정하기 △기사 교체하기 등 8가지로 정리한 바 있다.
또 2001년 12월 성균관대 언론대학원생들이 발행하는 계간 <오크노>가 서울지역 언론인과 공무원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는 69.5%가 ‘가판신문이 폐지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가판신문의 성격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61.0%가 ‘기업과 정부 부처를 상대로 한 로비용’이라고 답했다. 실제로 중앙일보가 가판을 폐지한 이후인 2001년 10월에는 11개 정부 중앙부처 공무원직장협의회 회장단에서 “관공서, 기업체의 공보담당자들이 매일 밤늦게까지 가판 내용을 검토해 자신의 기관이나 기업에 불리한 보도가 나오면, 이를 상부에 보고하고 밤사이 보도자제 내지 보도정정을 요청해 온 비효율적 관행”을 지적하며 환영 성명을 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