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서울 중심 협회운영 개선하라"

지방신문사협의회, 회장 직선제 도입 등 신문협회 개혁 촉구

김상철 기자  2003.03.19 00:00:00

기사프린트

지방신문사들의 ‘분권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강원일보 경남신문 등 10개사가 지방신문협회를 발족한 데 이어 지방신문사협의회에 참여하고 있는 16개 신문사 발행인들은 지난 14일 회의를 열고 신문협회의 ‘중앙 중심’ 운영과 이른바 ‘지방 춘추사 중심’ 운영의 개혁을 촉구하고 나섰다. 경주에서 열린 이날 회의에는 강원도민일보 경기일보 경남도민일보 등 14개사 발행인들이 참석했으며 경남일보 전라일보측은 회의결과에 동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신문협회 소속 26개 지방회원사 가운데 지방신문협회 소속사를 제외한 모든 지방신문사가 참여한 셈이다.<표 참조>

회의에 참석한 발행인들은 서울지역 신문의 무차별 경품 살포 등 지방신문 시장 잠식에 대한 신문협회의 책임 방기를 성토하는 한편 협회의 운영개선 필요성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올 상반기까지 △신문협회 회장 직선 등 이사회 중심에서 총회 중심으로 재편 △회원사의 절반이 넘는 임원 대폭 축소 △임원의 임기 단임과 지역 선임제 등 순환 선임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개선안 마련을 신문협회에 요구한 것이다. 아울러 이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신문협회 탈퇴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정리했다.

발행인들은 요구안의 근거로 신문협회 47개 회원사 가운데 회장단을 포함한 임원사가 과반이 넘는 24개사이며 서울지역 신문은 물론 지방신문협회 회원사 중 경남신문을 제외한 9개사가 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했다. 지방신문사협의회에 참여하고 있는 16개 신문사 가운데 임원사는 전무하다는 것이다. 지방신문사협의회측은 “중앙사와 기존 1도1사 체제에서 성장한 신문사 중심으로 협회가 운영되는 바람에 지방신문 경영환경 개선 등 시급한 과제들이 외면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방신문사협의회는 향후 위상 강화를 위해 사장단 참여를 활성화하기로 했으며 오는 25일 대전에서 전체 사장단 회의를 갖기로 했다. 앞으로 지방언론 발전방안 연구, 자체 개혁과제 등을 모색하고 지방분권 관련 현안과 과제를 정부당국에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지방신문사협의회 사장단 회의를 계기로 지방신문협회와 관계정립, 공론화하고 있는 지방언론 육성 관련 법 제정에 대한 공동논의 여부 등이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방분권, 지방언론 정상화’라는 명분을 놓고 지방언론이 신생사와 기존사로 양분될 수 있다는 우려가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신문협회는 회원가입의 경우 신문협회 회원사에 한해 심의를 거쳐 참여시킨다는 방침이며 지방신문사협의회는 “관련행사에 지방신문협회 회원사 발행인도 초청하고 자료도 계속 보내주는 등 ‘열린 단체’로서 입장을 견지해 나가겠다”고 밝히고 있다. 지방신문사협의회 관계자는 “‘분열양상을 보이는 것은 좋지 않다’는 내부적 공감대가 있다. 그러나 굳이 지방신문협회에 심사까지 받아가며 가입할 생각은 없다”면서 “통합운영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