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제시 미흡·검증없는 전망보도 지적도
한국의 언론사 정치부장들은 국내 언론의 이라크전 보도가 대체로 ‘미국 중심적’ 시각에 가깝고, 정부가 취해야 할 입장 등 대안제시 기능이 미흡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 철저한 검증이나 분석 없이 개전 전망을 앞세운 보도 태도나 반전 여론 전달에 미흡한 부분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특히 10명 중 9명은 이라크전 보도 시각에 대해 ‘미국 중심적’(92.1%)이라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자협회가 지난 21∼24일 전국 50개 신문·방송사 정치부장을 대상으로 이라크전 보도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문에 응한 38명의 정치부장 가운데 36.8%(14명)가 이라크전 보도의 문제점으로 ‘국익에 미칠 영향과 분석, 정부가 취해야 할 입장 등 대안 제시 미흡’을 꼽았다. 다음으로 ‘철저한 검증·분석 없이 개전 전망을 앞세운 보도태도’(28.9% 11명), ‘미국 입장을 대변하는 듯한 보도태도’(15.8% 6명) ‘국제사회의 비판이나 반전 여론 전달 미흡’(13.2% 5명)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 기사 5면
국내 언론의 이라크전 보도 시각과 태도에 대해서는 응답자 38명 가운데 78.9%(30명)가 ‘과거에 비해 완화되기는 했지만 대체로 미국 중심적 시각’이라고 답했고, ‘완전히 미국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답변도 13.2%(5명)로 집계됐다. ‘비교적 공정한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는 의견은 5.3%(2명)에 그쳤다.
이라크전 전망에 대해서는 단기전으로 끝날 것이라는 전망이 장기전 보다 조금 앞섰다. ‘단기전으로 끝난다’는 응답이 47.4%(18명)로 가장 많았으나 ‘장기전으로 간다’는 의견도 39.5%(15명)나 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3.2%(5명)였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