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부에서 발표한 ‘홍보업무 운영방안’이 논란으로 떠오른 가운데 오는 27일 열릴 부처 공보관회의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부처기자실 운영 역시 출입기자 등록제와 브리핑제 도입 등의 기본골격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조영동 국정홍보처장은 지난 19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중앙청사와 과천청사에 △개방형 기자등록제 도입 △대소형 브리핑 룸 2곳과 부처별 기사 송고실 마련 등 통합기자실 운영방안을 밝혔다. 또 “공무원 일과시간 중 기자들의 직접취재는 브리핑제 도입 취지를 놓고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관련기사 3면
정부는 직접취재 제한에 따른 보완책으로 총리를 비롯한 각료들의 직접 브리핑과 공보관 위상 강화, 법령정비를 통한 정보공개 활성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청와대 브리핑’은 지난 19일 “정보공개에 관한 법령을 정비해 알릴 것은 적극적으로 알리겠다는 것이 노무현 대통령의 기본방침”이라고 전했다.
고건 총리도 지난 20일 홍보처장으로부터 기자실 운영 개선안을 보고 받는 자리에서 각 부처의 행정정보 공개 조례 제정과 행정·정책과정의 공개 등 보완장치 마련을 지시하기도 했다.
반면 직접취재 제한에 대한 기자들의 우려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경제부처를 출입하는 한 기자는 “출입기자 등록제 등 기자실 개방이라는 큰 흐름에 반대할 기자들은 없을 것”이라며 “청와대 브리핑, 문화부 운영방안 등으로 이미 논란을 겪었으니 만큼 개방과 정보공개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적절한 방안이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공보관회의를 앞두고 부처 간 입장 차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부처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 기자실 운영 방식대로 가야한다는 의견도 있는 반면 기존 시스템을 유지하고 정례 또는 수시 브리핑제를 도입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하자는 입장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국정홍보처의 한 관계자는 “현재로선 27일 회의를 열어봐야 할 것 같다. 통일된 방안이 도출될 지, 기본원칙 외에 부처 실정에 맞춰 적용토록 하게 될 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