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신임 사장으로 서동구 전 언론재단 부이사장이 임명된 것과 관련 언론계의 반대 여론이 확산되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국민추천 방식으로 KBS 사장 후보를 공모한 KBS 이사회는 지난 24일 서동구씨를 KBS 사장으로 대통령에게 임명제청했으며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25일 서씨를 KBS 사장으로 임명했다. 이에 앞서 이사회는 지난 22일 서씨를 비롯해 황규환 스카이라이프 사장, 성유보 민언련 이사장, 정연주 한겨레신문 논설주간, 황정태 KBS 이사 등 5명으로 후보를 압축하고 5차례 비밀투표를 실시한 끝에 서씨가 과반수 득표를 얻었다고 밝혔다.
정권 내정설이 나돌았던 서씨가 KBS 사장으로 임명 제청되자 KBS 노조와 시민단체, 언론현업단체들은 즉각 문제를 제기하며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지난해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의 언론고문으로 활약한 서씨가 KBS의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지켜낼 수 없고 △경향신문 편집국장 시절인 지난 78년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특혜분양사건’에 연루된 도덕적 흠이 있으며 △서씨가 대통령의 핵심측근인 이기명씨의 사촌동생으로 정실인사 의혹을 사고 있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언론노조 KBS 본부(위원장 김영삼)는 지난 22일 성명을 내고 “KBS 이사회가 새 사장 자격 요건으로 제시한 개혁성, 독립성, 경영능력, 전문성, 인격과 품성 등에도 서씨는 배치되는 인물”이라며 “국민 추천을 요식행위로 전락시킨 이사회가 책임을 지고 임명제청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강력한 저항과 투쟁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혔다.
‘KBS 사장 선임을 위한 시민사회단체·노동조합 공동추천위’도 지난 24일 기자회견을 갖고 “정실인사 비판과 권언유착 시비에 휘말리지 않고 언론개혁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려면 서동구씨가 KBS 사장으로 임명돼선 안된다”며 “서씨는 스스로 용퇴하고 대통령도 거부권을 행사해 KBS 사장 선임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기자협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서동구씨는 KBS의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지켜내기 어렵고 방송에 대한 전문성을 갖췄는지도 의문”이라며 서씨의 용퇴를 촉구했다.
비상대책위를 구성하고 지난 24일부터 철야농성에 돌입한 언론노조 KBS 본부는 서동구씨가 사장으로 정식 임명됨에 따라 26일부터 사장 출근저지 투쟁을 벌이고 사태 추이에 따라 파업투쟁까지 고려한다는 방침이어서 당분간 진통은 계속될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