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지하철 신문판매대 유통개선 추진

신문협, 회원사별 일정구간 분담·관리

김상철 기자  2003.04.02 00:00:00

기사프린트

신문협회가 서울지하철 신문판매대의 신문유통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신문협회 산하 판매협의회는 올 들어 관련조례를 개정, 서울시의회와 서울지하철공사, 서울도시철도공사 등을 상대로 회원사 별로 일정구간씩 지하철 신문공급을 분담·관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서울시 공공시설 내의 신문·복권판매대 설치계약에 관한 조례’에 따르면 서울지하철 신문판매대 운영계약은 장애인, 65세 이상 노인, 모자가정의 여성, 독립유공자 유가족 등을 우선 순위로 3년마다 추첨을 통해 개별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판매협의회는 대상자들이 사실상 신문판매대 직접운영이 힘든 장애인, 연로자임을 악용, 이른바 중간공급업체들이 추첨과정에 개입해 대상자들의 명의를 도용·운영하는 폐단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신문사 판매국장은 “전문조직원(중간공급업체)들이 장애인단체 등을 상대로 신청 및 계약과정에 사전 개입, 판매대 운영권을 위탁받은 사람들에게 15만~20만원 정도를 더 얹어주고 공급권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특정업체가 수십개의 판매대 운영권을 확보하면, 신문사에 정상가 보다 낮은 가격으로 신문을 받아 판매하거나 이를 거부하는 신문의 판매대 진열을 거부하는 등 폐해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다른 신문사 판매국 관계자는 “이 때문에 신문사에서 판매대 중간공급업자들에게 40~50원 정도의 ‘파지값’으로 신문을 넘기는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지난달 24일 열린 ‘지하철역사 신문판매대 등 운영방안 개선을 위한 시민토론회’(서울시의회 보건사회위 주최)에서 서울시 감사관실은 지난해 12월 서울지하철공사에 접수된 판매대 운영 신청서류 7133건 가운데 58.6%인 4181건이 중간공급업체에서 조직적으로 신청한 것이라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또 지난 1월 3일~1월 30일 조사 결과 496개 판매대 가운데 중간공급업체가 위탁 또는 전매 운영하고 있는 곳은 82개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장애인, 노인 등 저소득 시민의 복리증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돼야 하며 △공신력 있는 사회복지 관련단체에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판매협의회는 지난달 21일과 28일 잇따라 회의를 열고 관련조례에 ‘신문공급은 신문협회가 지정한 회원사를 통해 공급받는다’고 명시함으로써 회원사별로 일정구간씩 분담해 지하철신문공급을 관리하도록 하자는 입장을 서울시의회에 전달했다. 이를 통해 ‘본사→총판→중간공급업체→판매점’에서 ‘본사→판매점’으로 체계를 개선, 판매점 운영권자의 수익증대와 함께 덤핑 등의 폐해를 없애고 유통과정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판매협의회 관계자는 “필요하다면, 공개입찰을 통해 신문공급에 참여하는 방식도 수용할 수 있다는 뜻을 서울시의회에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부산 지하철의 경우 부산일보 국제신문 등에서 신문공급을 직접 관할하고 있다. 부산교통공단은 지명경쟁입찰 방식을 도입해 지난 85년 지하철 개통 이후 지금까지 부산에 본사를 둔 신문사를 대상으로 운영권을 계약하며, 신문사들은 개별 영업소를 통해 각 판매대를 위탁 운영하고 있다.

김상철 기자